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화
전화기
phone
후드점퍼
홀리데이
fawn
phon
d라이브러리
"
폰
"(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착시’를 일으킵니다. 즉 멀다고 느끼는 지평선에 떠 있는 달을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폰
조 착시 : 윗변이 아랫변보다 짧은 사다리꼴 안에 같은 길이의 선을 수평으로 놓으면 위쪽에 가까운 선이 더 길게 보이는 착시현상. 멀리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더 크게 보인다 ... ...
[소프트웨어] 도시별 날씨 앱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에서 볼 수 있습니다.*앱인벤터는 안드로이드 스마트
폰
이나 태블릿PC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전국이 겨울로 접어들었어요. 직접 만든 날씨 앱으로 가족과 친구가 사는 곳의 날씨를 확인하고 안부 인사를 전해보세요. 그동안 코딩클럽과 함께하는 앱메이커를 사랑해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통제해야 할 어떤 것이 되고 말 것이다. 가치는 사라지고 짓밟힐 것이다.영희는 스마트
폰
을 꺼내들었다.“헌정 사상 초유의 사태예요.”정치인들이 무지 싫어하는 말이다.“대선이 두 달밖에 안 남았는데 거기 당원 누구도 마인드넷에 접속해 본 적이 없잖아요. 사태파악을 하는 사람이 하나도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얇은 암석을 기포 없이 유리에 붙이기 위해서는 노하우가 필요하다고 했다(문득 스마트
폰
에 액정보호 필름을 붙일 때의 노력이 떠올랐다!).이윤수 책임연구원은 “백두산 암석 샘플은 백두산의 과거 화산활동 기록이 담긴 블랙박스와도 같다”며 “다른 연구자들도 나중에 백두산을 연구할 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근처에 둥지도 있다는 말이니까요.현장교육에서 정다미 연구원은 제비의 특징과 스마트
폰
을 활용해 탐사기록을 올리는 방법뿐만 아니라, 제비와 비슷한 귀제비에 대해서도 설명했어요. 밥그릇처럼 생긴 제비 둥지와 달리 터널처럼 생긴 귀제비 둥지의 모습은 무척 흥미로웠지요. ‘청개골’ 팀의 ... ...
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강타한 태풍과 홍수 같은 자연재해는 물론 자주 타는 자전거, 매일 들고 다니는 스마트
폰
에도 위험이 도사리고 있어요. 하지만 걱정 말아요. 수학이 여러분을 안전하게 지켜줄 거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소중한 나를 지키는 수학 안전 수첩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Part 2.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바닥과 천장이 일렁이는 거예요. 현기증인가 싶어 이마에 손을 갖다 대고 있는데, 스마트
폰
에서 ‘우~웅’ 소리가 났어요. 아뿔싸! 근처에서 지진이 났대요.이때까지도 별일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다시 건물이 흔들리지 뭐예요. 사람들이 출구를 향해 일제히 뛰기 시작했어요.저도 친구와 ... ...
[소프트웨어] 서큘러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한국에 있는 파이보를 움직일 수 있다!서큘러스의 최종 목표는 1인 1컴퓨터, 1인 1스마트
폰
시대와 같은 1인 1로봇의 시대를 만드는 것이다. 박 대표가 어렸을 때 컴퓨터는 굉장히 비쌌고, 일부 기능만 이용할 수 있었다. 당시 최고 컴퓨터인 슈퍼컴퓨터는 수학자나 과학자의 전유물이었다. 박 대표가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됐다. 주름과 손톱도 있고, 촉감도 비슷하다. 같은 해 태어난 애플 사의 아이
폰
이 스마트
폰
혁신을 주도할 때, 아이림은 전자의수 혁명을 이끌고 있었다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주도한다. 기묘한 전자의 움직임을 설명한 사울레스1980년 독일 물리학자 클라우스
폰
클리칭은 정수 양자홀 효과로 불리는 놀라운 현상을 학계에 보고했다. 금속에 전류를 흘리면 저항이 생긴다. 전선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전류를 계속 흐르게 하려면 건전지를 연결해서 전자에게 일을 해 줘야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