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점을 감안하면 신장은 1백60-1백70㎝ 사이가 적당할 것으로 보인다. 체중은 신장 대비
한국인
평균치인 70kg 가량이면 무난하다. 외형적 조건 외에 기초 체력과 건강 상태도 중요하다. 중력이 거의 없는 우주 공간에서 생활할 경우 1개월에 1% 정도 근육이 약해지고 뼈에서 칼슘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또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그는 1999년 미국 방송통신 분야 최고 권위상인 클라크 상을 수상했다.또한 올해 초
한국인
으로서는 유일하게 소니의 회장등과 함께 ‘리더십과 혁신으로 세계 가전산업을 이끈 11명’에 꼽혀 미국 가전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24년에 걸친 긴 외국생활을 마치고 그는 1998년 귀국해 LG전자에서 CTO라는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경우가 많다. 또 시간이 흘러 필요없게 된 정보도 잘 치우지 않는 편이다. 이같은
한국인
의 사고방식은 웹페이지 설계에 고스란히 반영된다.이처럼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하는 사이버 공간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인간정신이 활동하는 무대다. 따라서 웹페이지 디자인은 당연히 인간의 심리적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우리 원자로를 본따 그대로 차세대 원자로를 개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많은 나라가
한국인
이 만든 원자로 모형을 주목하게 된 것은 사실이다.“핵연료에서 나온 플루토늄을 핵폐기물과 분리하기 매우 어렵게 해 원자폭탄의 제조 가능성을 크게 줄인 점이 돋보였습니다. 다른 나라보다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교수는 살틴 박사팀의 연구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황영조 선수나 이봉주 선수도
한국인
보통 체형과 달리 다리가 날씬하고 긴 편이다.한편 케냐 선수들의 근육에는 젖산을 분해하는 효소의 농도가 높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그만큼 에너지 활용 효율이 높은 것이다. 살틴 박사는 “외부자극, 즉 ... ...
2. 눈의 움직임이 마음의 비밀을 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서울대 의대 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한국인
의 조급증의 심각성을 진단했다. 권 교수는
한국인
의 조급증, 즉 ‘빨리빨리’ 병은 건강에 극히 해롭다고 진단한다. 마음이 급해지면 아드레날린이 많이 분비되고 신경이 예민해져 공격적인 성향을 띠게 된다. 이 때문에 신경이 예민해지면서 심신까지 ... ...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갖는다.인터넷 언어의 심리‘메일’ 이란 단어는 ‘편지’ 와 같은 뜻이다. 그러나
한국인
에게는 메일은 외래어이기 때문에 편지라는 단어보다 이해 속도가 느린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네티즌들은 ‘메일’ 을 ‘편지’ 보다 더 빠르게 이해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반갑습니다’ 보다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북두칠성을 더 강조했다. 한국과 중국의 천문우주관이 이처럼 다르다는 것은 고대
한국인
의 세계관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그렇다면 고구려인은 왜 북두칠성을 그토록 사랑한 것일까.김 박사는 “불교나 도교의 영향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장천1호분에 묘사된 3개의 ... ...
바다, 끝없는 프론티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달에 처음 발을 디뎠을 때도 아마 같은 기분이었을 겁니다.”
한국인
최초로 해저 5천m에 다녀온 김웅서 박사의 소감이다. 우리 기술로 개발한 심해 무인잠수정과 바다목장도 선보일 예정이다. 인류의 마지막 프론티어인 바다를 미래 삶의 터전으로 개발하기 위해 땀흘리고 있는 우리나라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행성을 거느릴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하지만 1999년 11월 미국 노트르담대의
한국인
천체물리학자 이선홍 교수팀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하면서 이전의 추측이 잘못됐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우주에는 여러 별들이 쌍을 이뤄 돌면서 행성을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할 수도 있는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