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쌔끼
밧줄
자식
끈
어린 짐승
꼬마
삭조
뉴스
"
새끼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 지방
과학동아
l
2015.08.31
두 지방은 에너지를 태우는, 살을 빼주는 지방이다. 갈색지방은 얼마 전까지도 포유류의
새끼
나 동면 동물에만 존재하고, 성인의 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었다.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것은 물론이다. 지방을 이루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모형 - GIB 제공 ● 에너지를 태우는 ... ...
지구 뜨거워지면? 도마뱀 죽고 새 굶어 죽고 생태계 엉망
2015.08.19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예측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이 실제로 알 속에 들어있는 도마뱀
새끼
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이들은 약 43도(화씨 110도)에서 수 분 만에 죽었다. 지구온난화로 이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알이 부화하지 못하고 결국 도마뱀 수가 줄어들게 된다는 의미다. 오피르 레비 ... ...
문어 게놈 첫 완전 해독
2015.08.16
소리의 지속성과 진동수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부모가 소리를 내는 방식과 유사하게
새끼
마모셋원숭이가 소리를 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런 경향이 유전의 결과인지 확인하기 위해 6마리의 남매 마모셋원숭이의 목소리를 비교하며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유전적인 ... ...
드론 보고 놀란 곰 가슴, 200분 동안 벌렁벌렁
2015.08.14
스트레스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 심장박동수가 평균 40~50회 늘었고,
새끼
와 함께 있던 어미 곰의 경우 120회 이상 늘었다. 한번 빨라진 심장박동이 진정되는 데는 평균 10분 정도가 소요됐지만 최대 200여 분 동안 진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디트머 박사는 “동물이 무인정찰기를 보고 ... ...
남극물범 어미는 냄새로 제 아들 알아본다
2015.08.11
부모를 귀신 같이 알고 따라간다. 동물 가족은 어떻게 서로를 알아보는 걸까.
새끼
남극물범의 모습. - Ville Miettinen(위키피디아) 제공 독일 빌레펠트대와 영국 리버풀대 공동연구팀은 남극물범(Arctocephalus gazella)의 경우 마치 지문과 같은 고유의 가족 냄새를 가지고 있어 이로 서로를 알아본다는 ... ...
종이 판다 아닌 야생 판다가 풀밭에 있다면?
2015.07.12
서울 잠실 롯데월드몰 근처에 종이 판다가 한 가득 전시됐다. - 동아일보DB 제공 서울 송파구 석촌호수 일대에 판다가 대거 출몰했다. 판다의 수는 무려 1800 ... 것을 기념해 플러스를 더한 것이다. 전시에서도 기존에 만들었던 성체 판다 1600마리에
새끼
판다 200마리를 만날 수 있다.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잡던 중이었다. 그러다가 지름 5cm 정도의 작은 문어 한 마리가 눈에 들어왔다. 김 씨는
새끼
문어로 생각하고 아이들에게 보여주려고 손바닥에 문어를 올려놨다. 그 순간 문어가 김 씨를 물었다. 김 씨는 “119에 연락해 응급처치를 했지만 손뼈가 시릴 정도의 극심한 고통과 어지럼증이 계속됐다”고 ... ...
아픈 야생동물, 약 먹이는 게 좋을까?
2015.07.08
나타났다.
새끼
중 알에서 일찍 나온 새는 생존율이 높았지만, 늦게 태어나는
새끼
는 생존률이 낮았다. 또 늦게 태어나는 새는 먹이 부족 등으로 2차 감염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 그랜로스-윌딩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야생동물의 군집에서 감염병의 전파를 연구했다는데 의의가 ... ...
고양이 오줌 냄새가 겁 없는 쥐 만들어
2015.07.06
보즈네센스카야 제공 연구를 진행한 베라 보즈네센스카야 박사는 “생후 2주 이전의
새끼
쥐는 주로 어미의 젖 냄새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 때 맡는 냄새는 긍정적으로 각인되기 마련”이라며 “심지어 고양이 오줌 냄새라도 동일한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고양이 오줌 냄새를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이런 식으로 죽는 돌고래의 숫자가 4배가량 늘었고 사고 이듬해 죽은 채 떠밀려온 돌고래
새끼
숫자가 평년의 10배에 이르는 등 정황은 그렇지 않다. 학술지 ‘플로스원’ 5월 20일자에는 이와 관련해 돌고래의 죽음이 기름유출과 관련돼 있음을 설득력있게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즉 2010년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