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뉴스
"
은하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헌터’의 무기, 뭐가 좋을까
2015.03.13
미국 뉴멕시코 주에 있는 전파망원경(VLA)을 사용해 지구에서 11억 광년 거리에 있는
은하
중심에서 블랙홀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전파망원경은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블랙홀에서 전파 에너지가 강하게 나오는 것은 아니어서 발견할 수 있는 블랙홀의 종류가 ... ...
초속 1200km로 이동하는
은하
계 가장 빠른 별 발견
2015.03.08
날아가고 있다. 이 별들은 대부분
은하
중심부로 향하다가 블랙홀에 의해 받은 힘으로
은하
계 밖으로 날아간다고 알려져 있다.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정상에 설치된 지름 10m짜리 ‘켁Ⅱ’ 망원경으로 US 708을 관측한 연구진은 다른 초고속 별들과 달리 US 708이 짝꿍별의 폭발로 추력을 얻게 된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우리
은하
의 중심에서 태양까지의 거리와, 태양이 우리
은하
를 한 바퀴 도는 주기를 알면,
은하
중심에서 태양까지의 물질들이 가지고 있는 질량도 알 수 있다. 그런데 막상 재보니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물질보다 관측자에게 보이지 않는 물질이 훨씬 더 큰 질량을 갖는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게 바로 ... ...
밤하늘의 별은 계속 늘어날까요?
2015.03.05
밝혀냈다. 계산식을 이용해 임계온도를 확인하는 규칙을 처음 찾아낸 것으로, 우주 여러
은하
의 생성과 소멸 조건을 이해하는데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 공식을 이용해 지금까지 발견했던 모든 성단의 임계온도를 계산해 냈다. 이 온도를 우주망원경 등으로 관측한 정보와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교육시킬 강력한 수단이에요.” 영화 속 주인공은 토성 근처 웜홀을 이용해 또 다른
은하
계로 이동한다. 우주의 지름길 웜홀은 강한 중력이 작용해 멀리 떨어진 두 공간을 휘어지게 만들어 두 공간 사이를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현재의 물리학 법칙으로는 웜홀의 존재가 인정될지 ... ...
우주의 시공간을 황금비율이 만든다
수학동아
l
2015.02.09
밝게 빛나는
은하
의 70%는 나선
은하
다.
은하
전체가
은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때,
은하
중심에서 가까운 곳은 더 빠르고 먼 곳은 더 느리면 나선이 생긴다. 그런데 이 나선이 * 황금나선을 이룬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이처럼 황금비율이 우주의 전 부분에 걸쳐 널리 나타나고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만화책이 나왔다. 새 책 ‘아인슈타인과 별빛여행’은 아인슈타인이 빛이 돼 한 소년과
은하
를 여행하며 우주에 대한 수수께끼를 하나하나 풀어간다. 원자와 원소를 장난감 블록에 비유해 설명하고, 상대성이론과 중력이론은 트램펄린 위에 놓인 무거운 쇠구슬로 설명하는 등 기발한 예를 책 ... ...
112억년 된 항성계, ‘케플러 444’발견…지구보다 오래된 외계 생명체 가능성
동아닷컴
l
2015.01.29
연구를 이끈 영국 버밍엄대의 티아고 캄판테 박사는 워싱턴포스트와 인터뷰를 통해 “
은하
계 어딘가에 고대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112억년 된 항성계 발견. 사진제공 = 동아닷컴DB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 기사제보 dnew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 ...
은하
의 자기장초상화
과학동아
l
2015.01.28
방향에 따라 자성을 띄기 때문이다. 사진에서 중앙부는 별이 밀집한
은하
계 중심부(
은하
수)다. 자기장 밀도가 높은 지역은 빨간색으로 표시했는데, 별이 밀집한 곳에 성간물질도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중심에서 벗어날수록 별과 성간물질이 점점 옅어진다. 파란색일수록 자기장 밀도가 낮은 ... ...
‘슈퍼지구’ 내부는 이렇게 생겼구나
2015.01.23
맨틀과 그 아래 핵 사이의 경계면이 이런 상태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우리
은하
에서 발견된 외계 행성은 1000개가 넘는다. 밀로 박사는 “이번 연구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슈퍼지구를 찾는 단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태양계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