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스페셜
"
나노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웹툰] 오줌 분수
KOITA
l
2013.12.12
절대 안 됩니다. 오줌에 물만 닿지 않아도 냄새가 임계점 이상 나지 않지만 우리는 1
나노
의 냄새도 허용할 수 없었습니다. 공사가 끝나고 우리는 코를 킁킁대며 화장실 구석구석을 냄새 맡았고, 냄새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자 비로소 미소 지었습니다. 문제는 비가 오는 날 발생하였습니다. 여느 ... ...
감기,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3.11.18
좋아한다. 리노바이러스의 경우 지름 30
나노
미터 크기(머리카락 두께의 3000분의 1)의
나노
공으로 네 가지 단백질 각각 60개, 총 240개가 껍질(캡시드)을 이루고 있는 ‘입자’다. 따라서 온도가 낮을수록 입자는 온전한 형태를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실제 감염자가 기침을 하거나 말을 할 때 공기를 ... ...
[채널A] 꿈나무들 멘토 자청…‘과학계의 15개의 별’ 한국에 뜬다
채널A
l
2013.10.28
만들려면 어떤 점을 염두에 둬야 할까요? [녹취: 재키 잉 / 싱가포르 생물공학 및
나노
기술연구소(IBN) 소장] 우리 몸속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로봇의 종류가 매우 많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마이크로로봇은 매우 도전적인 연구 주제지만 결실도 크리라 생각합니다. 올해 미래과학콘서트는 '과학의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적용된 제품이다. 스핀트로닉스를 응용한 논리 트랜지스터는 전하를 이용한 방법과 달리
나노
단위의 크기에서도 신뢰성 높은 작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보다 집적도가 훨씬 높은 회로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은 산업 뿐 아니라 국가정책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곤 한다. ... ...
호프스태터 나비를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부른다. 7과 8의 최소공배수가 56인 것과 비슷한 원리다. 그래핀과 hBN 초격자의 길이는 10
나노
미터가 넘기 때문에 수십 테슬라 정도의 자기장으로도 호프스태터 나비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것. 실제 실험결과 나비는 볼 수 없었지만 전자의 에너지가 프랙탈 패턴을 보인다는 사실은 확인했다. ... ...
“
나노
기술은 나무 ‘밑동’…투기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
나노
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
나노
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
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과학기술 안에서 '소통의 길'을 찾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18
최소한으로 감지하여 최적의 방식으로 전송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현재 이와 관련되어
나노
소재, 공정, 소자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소통은 센싱에서 시작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스마트 센서가 중요한 이유는 주변을 돌볼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과학기술을 통해 인간의 정(情)을 나눌 수 있다는 ... ...
“
나노
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
나노
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
나노
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
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급변하는 환경 반영한 새로운
나노
정책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
나노
융합산업협력기구’와 공동으로 기획 시리즈 ‘
나노
人’을 시작합니다. 국내외에
나노
기술 과학자, 정책전문가를 찾아가는 릴레이 인터뷰 시리즈를 매월 두 차례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가시광 흡수·방출하는 산화물
나노
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8.22
이는
나노
튜브를 이용한 태양전지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서 교수는 “
나노
구조 이산화티타늄의 가시광 흡수율 증대 효과로 인해 태양광 흡수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에너지 소자 즉, 태양전지와 태양광촉매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