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77건 검색되었습니다.
[19禁] 정자 에너지 사용하는 ‘슈퍼히어로’가 왔다
2016.05.01
네이버 웹툰 ‘스퍼맨(SPERMAN)’ 캡처. “인간의 성(性)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거죠.”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연재되는 19금(禁) 웹툰 ‘스 ... 현대 사회에 범람하는 악당(?)들을 이겨낼 방책을 찾는 것이 ‘슈퍼 히어로 관리국
생명
공학연구소’가 해결해야 할 과제일지도 모른다. ... ...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②
과학동아
l
2016.05.01
국내에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해외를 떠도는 과학자도 많다. Y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
생명
과학대에서 연구하는 한국인 박사후과정만 60명에 이른다”며 “최상위 저널에 논문을 내는 과학자들이지만, 이들 중 한국으로 돌아오는 건 겨우 10%”라고 말했다. 남궁석 충북대 축산학과 연구교수는 ... ...
[마음을 치는 시 13] “적막으로 一家를 이룬다”
2016.04.30
칩니다. 그 무용한 힘에 간혹 우리 마음은 속절없이 작동합니다. 그런 아이러니한 의미의
생명
을 믿어, 시인이 소개하는 시 한 편과 그 시 속의 이야기들을 준비했습니다. 당분간 매주 연재합니다. 마음 놓고 독자인 당신의 마음의 행로를 뒤따라가 보시기 바랍니다 ... ...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 ①
과학동아
l
2016.04.30
눈높이를 악용한 것이다. 심지어 계약서와 4대 보험 없이 일하는 연구원들도 있다.
생명
과학을 전공한 H박사는 국립병원 연구소에서 1년 단위 계약직으로 일했다. “1년 계약직이라도 보통 2~3년까지는 계약연장이 되지만, 늘 계약종료에 대한 두려움을 안고 삽니다. 계약종료 몇 주 전에 ‘연장이 ... ...
세포 속 ‘발전소’에서 신경암 해법 찾았다
2016.04.27
세포 속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신경암과 신경퇴행성질환에 대한 해법이 발견됐다. 이규선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과 이성수 한국기초 ... 미토콘드리아 내 칼슘 유입양을 늘린다. 그 결과 신경줄기세포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 ...
‘세상에서 제일 빠른 단백질’ 순간포착 첫 성공
2016.04.26
이상 등의 원인을 파악해 관련 질환의 발병 과정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
생명
과학 및 의학 분야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산업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탄산 탈수 ... ...
작은 고추가 맵다? 뜨거운 사막을 수십 시간 날아가는 알락 딱새
2016.04.26
알락딱새들이 어디서 그런 힘이 나서 최대 60시간 논스톱 비행을 하는지 작은 생물의
생명
력에 경의를 표하게 됩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활동하고 있다 ... ...
RNA 간섭 이용해 약물 쉽게 전달하는 나노 구조체 개발
2016.04.25
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암을 포함해 유전질환이나 바이러스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생명
공학, 의학 분야의 치료제 개발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응용화학분야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3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 ...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04.24
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기장은
생명
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파란색 빛에만 반응해 움직이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근육세포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것을 고무링 ... ...
수분 OK, 재사용 OK…신개념 CO₂흡착제 나왔다
2016.04.21
같은 다양한 국제 규약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최민기 KAIST
생명
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고성능 흡착제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지구온난화가 문제로 지적되면서 이산화탄소 흡착제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 ...
이전
606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