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국과 칠레, 멕시코 등 전 세계에 위치한 전파망원경 8대가 동시에 지구로부터 3만 5000광년 떨어져 있는 우리은하 중심 블랙홀 ‘궁수자리A*’를 관측했지요. 이 프로젝트를 ‘EHT 프로젝트’라 해요. 여러 대의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거대한 하나의 망원경처럼 활용하면 지구에서 달에 있는 ... ...
- 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난 10년간 약 940개의 운석을 찾아 세계 5위의 남극 운석 보유국이 됐답니다. 지난 2014년에는 가로세로 각 21cm, 높이 18cm, 무게 11kg에 달하는 대형 운석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이 운석은 태양계 생성 과정의 초기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카보네이셔스 콘드라이트’로, 태양계 생성 과정을 알아내는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전파돼 100년 뒤 한국 고추가 됐다는 주장이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며 “오히려 수천 만 년 전 야생고추가 새를 통해 여기저기 전파된 뒤,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진화했다고 해석하는 게 맞다”고 설명했다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경험을 가지고 있는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이 과제를 맡았다. 연구팀은 3년째 지문 감식 기술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지문 식별 기술 1] 사람마다 다른 땀 성분 3월 7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한쪽에 위치한 이 교수팀의 실험실을 찾았다. 광학 장치와 서버,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홍 교수는 “수술 로봇과 수술 내비게이션은 연구에서 상용화까지 걸리는 기간이 수 년 정도로 짧은 편이어서, 연구가 실제 현장에서 사용되고 이를통해 세상을 돕고 있다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분야”라며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함께 수술 로봇 분야는 향후 더욱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이후 컬럼비아대와 코넬대에서 연구원 생활을 거쳐 1998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임하고 있다. 초끈의 모체라는 M이론의 존재 증명, 다양한 초대칭 솔리톤에 대한 연구, 초끈 이론을 사용한 양자색역학의 연구 등으로 학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를 ... ...
- Part 4. ‘어른아이’의 진화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한다. 반면 유아기는 10세 무렵에 끝나버린다. 어쩌면 사춘기를 겪고 있는 10대 청소년을 그냥 ‘어린이’로 대해주는 것도 진화적인 관점에서는 나쁘지 않을 것이다. 박한선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신경인류학자다. 현재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사회에 대해 강의하고 있으며, 서울대 ... ...
- Part 3. 디젤차가 주범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015~2016년 2년간 초미세먼지 발생원을 모니터링한 결과, 서울시에서 자체 발생한 미세먼지 중 교통이 원인인 경우는 약 3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난방(약 39%)과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토대로 미세먼지 농도 등급이 ‘매우 나쁨’이었던 올해 1월 15일과 17일, 18일 서울시는 ‘출퇴근 ... ...
- [필즈상 미리보기] 게오르디 윌리엄슨, 치프리안 마놀레스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하는 게 자이베르그-위튼 이론입니다. 이론물리학에 기반을 둔 이론으로, 1990년대 이후 저차원 위상수학문제를 푸는 데 많이 쓰이고 있지요. 박사 과정 때부터 줄곧 이 이론을 연구하던 마놀레스쿠 교수는 이를 통해 3차원 다양체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새로운 불변량을 알아냅니다. ... ...
이전6076086096106116126136146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