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체에서 ‘오른손 분자’도 중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두 오른손잡이 아미노산이 이 변화를 주도한다는 사실을 밝혀‘사이언스’ 9월 18일자에
발표
했다.세포벽은 아미노산과 당이 서로 결합해 만든 그물망 구조인‘펩디도글리칸’으로 이뤄져 있는데 D-메티오닌과 D-류신이 끼어들어가면서 펩티도글리칸 합성이 줄어든다. 왈더 교수는 “박테리아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브리스톨에서 개최되는 제69차 세계척추고생물학회에 이번 익룡발자국의 연구성과를
발표
한다. 이 자리에서 세계 최대 크기의 익룡발자국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 뒤 추가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익룡으로 밝혀지면 신종으로 등재할 계획이다.임종덕 학예연구관은 미국 ... ...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해 봤죠. 그런데 반응이 생각했던 것보다 폭발적인 거에요. 수업의 참여도도 높아지고
발표
력과 집중력도 좋아지고요. 그래서 그 때부터 교육마술을 연구하고 있어요.마술 수업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이에요. 선생님이 마술을 잘 하고 못하고는 두 번째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쓸모없도록 만든다는 연구결과를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임상연구저널’ 9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첫 번째 그룹은 버터나 치즈, 우유, 쇠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을 함유한 먹이를, 두 번째 그룹은 포도 씨와 올리브유에 많은 불포화지방산인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관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삼성경제연구소 임태윤 수석연구원은 지난 7월
발표
한 보고서에서 “중국은 세계 3위의 리튬 매장량을 기록하고 있으면서도 전 세계 리튬의 50%가 묻힌 볼리비아에 대한 자원외교를 적극 전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에보 모랄레스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난 2월 초당 1000프레임 속도로 동영상을 찍는 소비자용 소형 디지털 카메라를
발표
했다. 영화 한 장면이 초당 24프레임으로 구현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엄청난 성능이다. 제조사가 “날아가는 총탄도 찍을 수 있다”고 설명하는 이 카메라는 지금까지 보지 못한 생생한 영상을 선보일 수 있을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태아기 때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2000년 ‘네이처’에
발표
했다.‘약지가 긴 남성(테스토스테론 영향)은 공격 성향이 강하다’‘검지가 긴 여성(에스트로겐 영향)은 언어 능력이 뛰어나다’ 등의 연구결과도 성호르몬 관련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그러나 ... ...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기술을 개발했고 2007년 12월 그 연구 결과를 독일의 응용화학지인 ‘앙게반테 케미’에
발표
했다. 메탄올 연료전지에서는 연료인 메탄올이 산화하면서 수소이온과 물, 이산화탄소가 생긴다. 수소이온은 고체 고분자전해질막을 통과해 반대편 전극으로 넘어가는데, 이때 전류가 만들어지며 물과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이런 태도는 제자에게 까다로운 실험과 잡무를 일임하고도 연구 결과를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
하는 현재 과학계의 풍조에 일침을 가한다. 채집과 관찰, 실험은 과학연구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개별적인 사례들을 일일이 검토해 결론에 이르는 과정을 귀납적 방법이라고 한다. 정약전은 이 방법으로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처리됨을 뜻하는 결과다. 중국 홍콩대 언어학과 리 하이탄 교수팀은 2004년 ‘네이처’에
발표
한 논문에서 한자 난독증인 사람들의 비정상적인 뇌 활동 패턴이 영어 같은 알파벳 글자를 잘 못 읽는 사람들의 패턴과 다르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즉 한자 난독증인 사람은 시각기호를 처리하는 좌뇌 ... ...
이전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