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이름정리] 맥너겟 수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냅킨에 바로 계산했고, 이 결과를 그가 쓴 대수학 책에 소개했습니다. 6, 9, 20은 공약수가 1뿐인 서로소이기 때문에, 충분히 큰 어떤 수는 이 세 수의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1, 2, 3, 4, 5, 7, 8, 10, 11, 13, 14, 16, 1 ...
- 인공어초 파헤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m인데 간격을 30m로 뒀다면 포자가 암반까지 날아가지 못하고 바닥에 떨어져 버릴 것이고, 1m로 붙여서 설치하면 이번에는 암반보다 포자가 더 멀리 날아갈 수도 있어요. 설사 포자가 암반 위로 떨어진다 해도 효율이 매우 낮은 어초가 되겠죠? 후류역은 인공어초의 높이, 재질, 구조, 유속, 해류의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시험이 끝났어요! 끝나지 않을 것 같던 고통스러운 한 주였습니다. 우리는 준우네 집에서 신나게 놀며 시험에서 받았던 스트레스를 날려 ... 알기 위해서 먼저 제켄도르프 정리에 따라 6을 5+1로 분해했어요. 5명일 때 3마리, 1명일 때 1마리를 시키면 되니, 6명일 때는 총 4마리를 시키면 됩니다 ... ...
- [영재교육원 탐방 4] 집중하는 영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지도를 받으며 논문을 쓴다. 연구를 하면서 자기주도적 탐구능력을 키우는 게 목적이다. 1년 동안 주제 하나를 정해 연구주제발표 세미나를 2~3번 하고, 사사논문 발표회를 2번 연다. 분야와 주제는 학생이 주도적으로 정한다. 그래서 ‘QR코드의 무늬를 조작해도 인식이 가능할까?’, ‘과일의 ... ...
- [수학공작실] 종이로 끼워 만드는 육팔면체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떻게 만드느냐다. 중심 분할을 응용해 유닛을 만들어 보자. 중심 분할 정다면체는 1가지 유닛으로 만들 수 있다. 정다면체를 이루는 유닛은 점대칭인 것이 특징인데, 유닛을 점대칭 도형★이 되도록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무게중심에서 각 꼭짓점 방향으로 그은 선으로 정다각형을 나눠서(중심 ... ...
-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얼마나 아찔할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 ...
- 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뫼비우스 띠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클라인 병 놀이공원 탐험기Part 1. [롤러코스터] 4차원 뫼비우스 띠?!Part 2. [착각의 방] 우리가 아는 건 가짜Part 3. [깜짝 퀴즈쇼] 차원을 넘나들어라!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Part 5. [튤립 정원] 클라인 병 지도 ... ...
- [과학뉴스] 달걀껍질, 병아리 나오기 직전 약해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원자힘현미경과 X선 촬영 등으로 15일간 달걀껍질의 변화를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달걀껍질을 이루는 탄산칼슘과 유기물을 결결합하는 오스테오포틴(OPN) 단백질을 발견했다. OPN 단백질이 많을수록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껍질의 구멍이 나노미터 크기로 줄어들어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비리 교수는 “작은 해양생물들이 바다 전체에서 ... ...
이전6086096106116126136146156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