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군인을 대신해 독성화학물질을 감지한다. 현재 무인 자율주행과 군집제어를 위한 로봇
기술
도 개발 중이다. 곤충만 한 크기에 무게 10g 미만인 초소형 무인정찰기뿐 아니라 적군을 선별해 공격하는 인간형 로봇도 연구하고 있다. 로봇 과학자들은 2020년이면 휴머노이드가 실전에 투입되기 시작할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구성한다.한국철도
기술
연구원의 열차제어연구실장 김용규 박사는 “현재의 선로
기술
은 궤도회로로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던 2, 3세대 방식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한 4세대 방식으로 넘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는 선로 외부에 설치된 무선안테나로 지상과 열차가 끊어짐 없이 통신할 수 있고 이는 ... ...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파란 눈동자를 가진 프랑스 사람이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그는 바로 한국과학
기술
연구원(KIST) 기능금속연구센터의 에릭 플러리 박사. 프랑스 노르망디 출신인 플러리 박사는 KIST의 첫 번째 외국인 정규 연구원으로 2005년 세계 최초로 고강도 액체금속을 개발해 주목받았다. “한국 사람들은 머리도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찾는 행동이 오히려 실패를 부추겼다는 것이다.“우리 청소년들도 좋은 학자, 좋은
기술
인, 좋은 기업가는 적어도 20년 이상 한 우물을 판 사람들이라는 평범한 진리를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앞으로 그는 이 분야의 최고 학자가 되는 것이 꿈이다. 유학을 가지 않아도 될 만큼 수준 높은 교육 여건을 ...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결과를 1997년 3월 21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2005년 과학자들은 현대분자생물학의
기술
을 동원해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부활시키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마침내 이 바이러스가 고병원성인 이유를 밝히는 실험에 착수했다. 물론 사람이 아니라 실험동물인 생쥐가 희생양이 됐다. ... ...
[로봇공학] 인간처럼 넘어지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축구 경기를 보면 선수들이 서로 부딪혀 넘어지고, 태클에 걸려 바닥을 구르는 위험한 장면이 많다. 신기하게도 그렇게 넘어지고 금새 툭툭 털고 일어난 ... 사람들에게 인간의 다리와 유사한 로봇 다리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잘 넘어지는
기술
이 사람을 일으키는 데 쓰이는 셈이다 ... ...
인천-LA 1시간대에 주파하는 극초음속 비행기 시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11.5m, 주날개 폭 4.7m인 이 비행기는 실제 초음속 여객기를 만들기 위한 데이터를 일본
기술
진에 제공했다.일본은 콩코드의 3배인 300명의 승객을 태우고 마하 2로 비행할 수 있는 중형 여객기를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콩코드 개발 경험이 있는 프랑스와 공동 연구를 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연세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김호 경인교대 사회교육과 교수오동훈 한국과학
기술
기획평가원 조사분석실장전용훈 일본 교토산교대 객원연구원주일우 문지문화원 사이 기획실장최정규 경북대 경제통상학부 교수눈길이 머무는 이달의 책| 시간의 심리학 |사라 노게이트 지음 | 장근영·이양원 ... ...
차세대리더 모임 YEHS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시작한 교육봉사활동이다. 예스가 여기에 참여한 것은 2006년 2월 부터다. 주니어 공학
기술
교실의 교육봉사활동은 회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이번이 두 번째 참가라는 김자영(서강대 06학번) 씨는 “이런 활동은 공대생들이 더 잘 할 수 있는 일이기에 특별한 매력을 느낀다”고 말했다.예스는 그 ... ...
은반 위의 과학! 피겨스케이팅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문제다. 적당한 긴장은 집중력과 주의력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오히려 어려운
기술
이나 심적 부담이 덜한 갈라쇼에서 선수들은 실수를 많이 한다. 관중도 선수의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연습 때와 달리, 갑자기 큰 환호나 야유가 들리면 압박감을 가져 실수를 하기 쉽다. 그래서 ... ...
이전
610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