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간 세상에서 추방하려 합니다. 고양이를 좋아해 스스로 ‘고양이 집사’가 되는 사람들과 무척 다릅니다. 고양이는 과거에 인간의 사랑을 받지 못한 걸까요?중국 신화에 따르면 고양이는 천상의 동물입니다. 쥐 때문에 고통 받는 인간을 위해 신이 고양이를 인간 세상으로 내려 보냈지요. 고양이는 ... ...
- 거꾸로 푸는 역문제수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술 발전의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이에 덧붙여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사람의 상태나 감정을 추론하는 역문제 해결 방법이 특히 더 많이 발전할 것”이라며, 몸에 착용하고 다니는 웨어러블 기기와 연결될 수 있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역문제를 풀어 우주를 보다 지난 2월 ...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위대한 수학자가 왜 둥근 공간을 생각하지 못했을까요?”“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던 사람들이었으니 세계가 2차원 평면으로 이뤄진 줄 알았겠지. 하지만 공간이 오목하거나 볼록하면 평행하는 직선이 만날 수도 있는 거고,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가 아니게 되는 거지.”“공간의 형태에 따라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위해 각자 걸음 수와 자신의 평균 보폭을 곱했습니다.그런데 구간의 거리를 잰 값은 사람마다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아마 거리를 재야겠다고 생각하면서 걷는 바람에 자신이 측정한 평균 보폭보다 크게 또는 작게 걸었을 겁니다. 걸음 수를 세다가 놓친 친구도 있을 겁니다. 만약 충분히 먼 거리를 ... ...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3월 7일자에 발표했다.식물의 잎과 잎맥의 모양은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종마다 다르다. 하지만 그 차이가 워낙 미세해서 육안으로는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표백한 식물 잎사귀 7500장을 준비해, 컴퓨터 프로그램이 종마다 다른 잎맥 패턴을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인공지능으로 풀고 싶어하는 일상의 많은 문제는 바둑 같지 않다. 사진 한 장을 보더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묘사할 수 있다. 인공지능에게 사진을 분석시키려면, 사진의 어느 지점에서 시작할지부터 정해줘야 한다. 이게 바로 비정형 데이터다. 알파고는 비정형 데이터에 대한 경험이 없다.이게 왜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 5000만 전 국민이 가입했다고 치자. 더 가입하거나 탈퇴하는 사람이 없다면, 밖에서 봤을 때 페이스북은 정지한 시스템인 것처럼 보인다. 페이스북이라는 세상에 시간이 흐르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내부에서는 다른 일이 벌어진다. 5000만 명의 사용자끼리 친구 관계를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무차별적으로 잡아다 고문하고 살해했습니다. 지식인 같이 보인다는 이유로 안경을 쓴 사람을 잡아가기도 했습니다.이런 불모지에 지금과 같은 학교를 세운 데에는 다른 나라들의 도움이 무척 컸습니다. 1994년에 처음으로 학생 한 명이 일본으로 박사학위를 따러 떠난 데 이어, 미국, 프랑스, 호주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어린 난자는 핵을 제거하고 체세포를 넣는 과정에서 다 터져버린다.게다가 돼지는 3주, 사람은 4주에 한번씩 배란하는 반면, 개는 6개월에 한번씩 배란한다. 한번 시기를 놓치면 6개월을 기다려야 한다. 원하는 만큼 실험을 하려면 그만큼 후보 견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 교수는 “정확한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아니다. 식물이 완전히 자라면 공기 중에 산소의 비중이 급증한다. 자칫 기지에 머무르는 사람들의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그렇다고 공기를 단순히 빼내면 산소뿐 아니라 대기 중 질소까지 빠져나가 버린다. 또 광합성의 결과로 바이오돔 내부의 습도가 100%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 ... ...
이전6106116126136146156166176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