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한 30만달러. 당시에는 그 돈이 없었기 때문에 외상유학이었던 셈이다.1990년 최순달
박사
가 한국과학기술원 내에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설립하자, 과거 그와 인연을 맺었던 체신부, 과학기술처, 그리고 과학재단 등이 1백억원에 가까운 돈을 적극 지원해 주었다. 젊고 우수한 인공위성 개발인력을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구성과를 내놓은 것은 획기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
는 “우리나라 천문학 연구에서 커다란 한걸음을 내딛은 일”이라고 환영했다. 세계의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나아가는 우리나라 젊은 연구자들의 다음 목적지는 어디일지 자못 기대가 된다 ... ...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일어났다. 얼마 후 이 수정란은 대리모의 자궁 속에서 자라 세상의 빛을 보았다. 윌머트
박사
는 이 양의 이름을 ‘돌리’(젖가슴이 큰 미국의 여가수 돌리 파튼에게서 따옴)라고 지었다.탄생과정을 살펴보면 돌리는 암컷임을 알 수 있다. DNA를 어머니에게서만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보통의 ... ...
양(羊) 심장판막 인공배양에 성공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자신의 세포로 심장판막을 만들어 이식하는 수술이 처음으로 성공했다. 미국 보스턴 아동병원의 사이먼 호어스트럽
박사
는 양에서 혈관세포를 추출한 다음 실 ... 퍼스터
박사
는 “이제 사람의 것과 똑같은 심장판막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됐다”며호어스트럽
박사
의 실험을 높이 평가했다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찔레꽃에는 연분홍과 흰색꽃은 있지만 붉은 꽃은 없기 때문이다. 광릉수목원의 이유미
박사
는 '우리가 알아야 할 나무 백가지' (현암사)에서 찔레는 붉은 꽃이 없으며, 특히 따뜻한 남쪽지방보다는 중부지방에 흔해서 남쪽나라의 추억으로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했다. 아마도 작사가는 어감상 어쩔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회선이 망가지면 역시 문제가 된다.고등연구계획국의 고민은 1962년 MIT의 리클라이더
박사
가 해결해주었다. 그는 오늘날 인터넷의 개념을 담고 있는 ‘은하 네트워크’(galactic network)를 제안했다. 전세계의 컴퓨터가 하나로 연결되어 어디서나 빠르고 쉽게 접속할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그의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않은 변수들로 수포로 돌아가는 일을 걱정하는 권 교수의 말이다. 현재 연구실에는
박사
과정 8명과 석사과정 6명이 권 교수와 일체가 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한국식 유전공학을 보여주겠다는 권 교수의 다짐과 온실과 배양실을 바삐 오가는 진지한 연구원들을 본다면 누구나 우리나라 유전공학의 ... ...
종양 제거하기 위해 심장 떼낸 채 수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4월 비슷한 수술을 행한 적이 있다. 그러나 환자(20세)는 3개월 후 사망했다. 당시 리어든
박사
는 “심장 수술 자체는 성공이었다”고 말했다고 한다. 환자의 사인은 골수암이었기 때문이다. 이번에 수술을 받은 환자의 건강 상태가 얼마나 호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은하수 부근 밝은 배경 속에 놓여있어 발견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버로우
박사
는 차세대 적외선 망원경이 완성되면 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송아지'가 언론 매체에 등장할 전망이다. 최초의 복제동물인 돌리는 탄생시킨 윌머트
박사
팀은 자신이 사용한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 모든 복제 포유동물에 대해 소유권을 청구하는 특허를 신청했다고 알려졌다.한국의 경우 지난 98년 3월부터 동물 특허가 인정되기 시작했다. 기존에는 '생명창조는 ... ...
이전
611
612
613
614
615
616
617
618
6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