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환자 만족 높이는 한·양방 협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안전성 면에서 당귀작약산이 손색이 없다는 점을 보여 준 사례다.생활약탕기인삼의 학
명
은 ‘Panax Ginseng’이다. 여기서 ‘Panax’는 만병통치약을 뜻한다. 그만큼 인삼은 건강을 유지하는 대표적인 한약재로 꼽힌다. 조선 왕들 가운데 83세로 가장 장수했던 영조는 72세 때 1년 동안 인삼을 20여근(약 6kg ... ...
자면서 기억력 쑥쑥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기억중추인 해마에서 신경세포로 신호전달이 촉진되기 때문에 기억이 강화된다고 설
명
했다.이 연구는 뇌 손상, 우울증, 기억상실증을 치료하거나 시험이나 발표 전 기억력을 강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박사는“기억 강화의 효과 지속시간과 부작용에 대한 연구가 아직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대표적인 여행사 몇 군데를 알아보자.스페이스 어드벤처스:소유즈로 우주여행객 4
명
을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낸 미국의 베테랑 우주여행업체.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와 싱가포르에 우주공항을 건설 중이다.버진 갤럭틱:영국 버진그룹에서 만든 우주여행사. 현재 우주여행 예약자는 3만4000
명
. ... ...
DAY3-4 스페이스십투 타고 우주 가볼까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소유즈에 탈 수 있다.데니스 티토를 비롯해 지금까지 민간인 자격으로 ISS에 다녀온 4
명
은 모두 미국의 ‘스페이스 어드벤처스’가 러시아 우주국과 함께 내놓은 우주여행 상품을 이용해 다녀왔다. 이 여행상품의 가장 큰 단점은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국제우주정거장에 8일 동안 머무는 ... ...
또 하나의 달이 된 '아누셰 안사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우주여행객인 아누셰 안사리의 강연이 있었다. 페르시아 학생회가 주최한 이 행사에는 520
명
정원의 강당이 안사리를 보러온 사람들로 빼곡히 채워졌다. 청중의 대부분은 미국에 거주하는 이란인. 그들은 강연을 통해 같은 민족인 안사리가 실현한 우주여행에 긍지와 자부심을 느꼈다. 아누셰 ... ...
PART2 엘니뇨 사냥꾼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2006관광동향 연차보고서를 보면 해마다 해외여행자 수가 꾸준히 늘어 2005년에는 1007만
명
이 우리나라를 빠져나갔다. 여행지는 전통적으로 선호하던 중국과 일본, 태국 외에도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 같은 대륙으로 다양해지는 경향이 나타난다.그러나 해외여행의 낭만에만 젖어있다가는 큰 코 ... ...
두근두근 화성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갖고 있는 우주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줄 것이다. 초등학교 1~6학년이 대상이며 120
명
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참가비는 22만 원이다.자세한 정보는 www.dongascience.com/kids에서 볼 수 있으며, 문의 전화는 02-6749-2564다 ... ...
대~한민국! 2006 동물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아쉽지만 거미 탈락.BE The Reds!12번째 선수, 붉은 악마!축구 선수는 몇
명
일까요? 11
명
이라구요? 맞아요. 하지만 열심히 응원하는 12번째 선수 붉은악마를빼놓을순없어요. 여기 동물 친구들도 제각각 멋지게꾸미고2006 동물 월드컵을 응원하러 왔어요. 어떤동물들이 가장 멋진지 만나 볼까요?쿵쾅쿵쾅, ... ...
콘크리트보다 강한 종이기둥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통해 발전을 거듭한 종이 기둥의 뼈대를 사용했다.자재는 여러 기업에서 기부받았다. 160
명
이 넘는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종이 교회는 5주 만에 완공됐다. 그는 1997년 광주비엔날레에 자신이 가르치는 게이오대 학생들과 함께 만든 ‘고베 지진 텐트’를 출품해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종이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지식을 바탕으로 21세기 초에는 인간 유전체(게놈)지도가 완성돼 의학과 생
명
과학에 혁
명
을 일으키고 있다. 100여년 전 발견된 ‘지식’이 전혀 예상치 못한 열매를 맺고 있는 셈이다.스티븐 코비는 자신의 책(‘Seven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에서 우리 앞에 놓인 일을 중요함과 급함을 기준으로 ...
이전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