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III 우리나라의 뉴미디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따내기 위해서 CATV쪽에 눈을 돌린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우리나라의 CATV가 어떤
형태
로 정착 될 것이냐는 데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많다. 미국이나 유럽처럼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것도 아니어서 전문영역을 가진 CATV는 시장성이 없어 실현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스포츠나 ... ...
잘못된 경종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회전할수록 무게가 작아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들이 내린 결론은 자이로스코프가 어떤
형태
의 반중력을 발생시켰다는 것이었다.이것은 그 자체로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일은 아니다. 장난감 프로펠러는 선회하는 동안 알려진 공기역학적 힘의 결과로 공기중에서 올라갈 것이다. 그것은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개의 물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때 더욱 많은 시간이 걸린다. 아주 정교하고 복잡한
형태
의 프레임을 렌더링할 경우 심지어는 1시간 이상씩 걸리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시스템에 따라서 개발시간이 단축됐다.애니메이션 단계는 제작된 모든 물체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키 ... ...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pH 변화와 같은 외부 자극이 있으면 물을 방출한다. 이렇게 물을 내보낸 뒤 겔은 원래의
형태
로 돌아간다. 다시 말해 형상기억 능력이 있다. 이것은 고흡성고분자 겔의 화학적 구조가 전환되는데 기인한다. 이때 발생한 화학적 에너지는 어떤 물체를 움직이는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다.이런 ... ...
PART 2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로봇과 수평다관절 로봇으로 나눌 수 있다.이중 수평다관절형은 조립에 적합한
형태
의 로봇이다. 왜냐하면 수평방향으로는 유연성을 지니고 수직방향으로는 매우 단단하기 때문이다.현재 국내의 10여 기업이 로봇개발에 뛰어 들고 있다. 그중 수직다관절로봇 분야에는 현대로보트산업 대우중공업 ... ...
미지의 물질 구조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해서 '층형구조'로 볼 수는 없다. 왜냐하면 밀가루는 한 방향으로만 잘 쌓이지 않고 가루
형태
의 물질들이 일반적으로 그렇듯이 산모양으로 소복이 쌓이기 때문이다. 이런 구조는 수직방향의 힘보다 수평방향의 힘에 약하므로 층형구조가 아닌 입자형구조로 보아야 한다. 2 답은 ①이다.물질의 ... ...
PARTⅠ 16, 64메가 D램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 금년 상반기 중 모습을 드러내면 반도체개발은 제도상으로는 범국가적 개발
형태
의 모습을 띠게 된다.또 지난해 삼성의 경우 지금까지 초대규모집적회로(VLSI)단계에서 극초대규모로 기술적 전환을 한다는 의미에서 U(Ultra)LSI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16, 64메가D램개발의 도전욕구를 가시화하고 ... ...
PART 3 세계의 첨단로봇 총집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로봇, 곧 제 3세대 로봇이 연구·개발되고 있다. 이들은 머지 않아 우리 주변에서 여러
형태
로 친밀하게 다가올 것이다 전문가시스템의 도움으로이러한 제3세대 지능로봇은 감각 기억 사고기능을 갖추고 주어진 작업을 홀로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단순작업을 하는 산업용 로봇과는 차원이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푸에르토 월리암스는 멀리 뒤에는 깎아지른 절벽이 양쪽에 있고, 가까이에는 둥근
형태
의 산들이 있는 조용한 항구도시다. 두 도시 모두에 두나라의 해군이 주둔하고 있다.비글해협을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조사한 사람이 영국인이었으므로 주변 지형에는 다윈산맥 다윈봉 다윈수로 런던섬 톰슨섬 ... ...
스페인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진정한 플라멩코는 결코 웃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투우의
형태
는 18세기 말에 정착된 것이다. 하지만 투우의 기원은 이보다 훨씬 옛날로 거슬러 올라간다. 옛 스페인의 귀족들은 그들의 용맹성을 보이기 위해 말을 타고 투우(투우경기에 쓰이는 특수한 소. 이 소는 ... ...
이전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