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해외기술의 이전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정부나 기업이 모두 이미 얻어온 선진기술을
활용
할 수 있을 만큼의 이공계 고급교육만을 요구하다보니 자연히 기술혁신을 위한 기초과학에의 투자나 '대학과정 이상'의 공학교육은 등한시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간 기초 과학을 전공했던 사람들이 대학이나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 중에서 가장 밝은 것들은 M10, M12, 그리고 M62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꼭지 망원경
활용
법(초여름의 구상성단)에서 자세히 다룬다.성단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들 중에는 간혹 구름처럼 흐릿하게 보이는 대상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성운(nobula)과 성단(cluster)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두가지는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진을 연구하는데도 필수적인 바 예상대로 소련과 중공의 자료는 수집해서 유익하게
활용
할 수 있었다. '서두르지 않되 정확하게'내가 웁살라대학에서 몇년간 공부하며 터득한 하나의 큰 교훈은 자연과학을 연구하는 태도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서두르는 법이 없고 모든 과정들을 명확히 실증하고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가지고 있다. 예로 부패한 음식을 가려 먹거나 생식을 할 때 그들은 후각세포를 십분
활용
하고 있다.이렇게 뇌가 할 일을 후각세포가 대신하기 때문에 뇌와 코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는 오래전부터 진행돼 왔다. 실제로 코는 발생초기의 뇌가 어떻게 기능하는가를 연구하는 사람에게 좋은 ... ...
1. 첨단과학기술의 경연장 「해양정보도시」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눈부시게 발전하는 전자기술 재료기술 생명공학기술 등을 주축으로 첨단기술을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다면 동경의 대상인 해양도시의 개발도 꿈만은 아닐 것이다.부산인공섬 건설계획 사업확정됐으나 환경단체 반발 거세일본 고베의 포트아일랜드를 본따 부산시가 추진해온 인공섬 건설계획은 ... ...
과학으로 풀어본 야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투수들 중에는 침 대용으로 땀 샴푸 주스 바셀린 피임용 젤리까지 반칙투구에
활용
하는 선수도 있다.또 모래나 금속으로 공의 표면에 상처를 내기도 한다. 이럴 경우 상처부위가 더 많은 공기저항을 받게 되므로 공은 그 반대쪽으로 변화하게 된다.요즘 프로야구 TV중계를 보면 스피드건은 약방의 ... ...
혈액제제의 작용과 부작용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다. 지난 해 미국의 유전공학업체인 바이오퓨어사(社)가 선보인 이 대용혈액을 수혈에
활용
하면 AIDS나 간염같은 혈액감염성 질환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소의 혈액에서 추출한 헤모글로빈(Hb)을 고도로 정제한 이 대용혈액은 현재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을 거치고 있다. 이미 쥐 원숭이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보였던 고온초전도체는 깨지기 쉬운 세라믹. 이를 얇은 판 등으로 가공해서 실제제품에
활용
해야 하는데, 이 기술은 미국 일본 등과 비교, 상당한 수준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0년부터 국책과제로 채택된 '고온초전도기술개발'도 바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 표준연구소 박종철 박사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없을 것"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요지부동의 증거물들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사에
활용
될 유전자지문감식법은 연구소의 또다른 희망으로, 외국에서는 이미 실용화돼 사건해결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사람의 세포에는 2중나선구조를 가진 DNA(디옥시리보핵산)가 들어있는데, DNA를 구성하는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하고 있다. 기상예보외에도 항만건설 시에나 해양환경이 위태로울 경우에도 이 자료를
활용
하겠다는 것이다.최근 제주도 서남쪽 85해리 떨어져 있는 전설의 섬 '파랑도'(수심 5.5m)도 해양관측점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종합해양관측망이 구축되면 수집된 자료를 분석 ... ...
이전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