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러시아, 소행성 폭파 실험 진행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러시아 원자력공사와 모스크바 물리기술대 공동연구팀이 지구 충돌 위험이 있는 소행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폭파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및이론 ... 소행성을 파괴하지 않고 소행성 궤도를 바꾸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하고 있다. doi:10.1134/S106377611801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구조체가 포함된 종이 시트로, 여기에는 농약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질 전환된 M13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가 들어 있다. 이 기구에 시료를 묻혀 라만분광분석으로 확인하면 잔류 농약의 존재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라만분광분석은 라만산란을 이용해 분자를 감별하는 방법이다.정 ...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약 6.05km/s, 면의 중심에서는 약 7.47km/s였는데, 이는 현재 지구에서의 탈출속도(약 11km/s)보다 작다. 연구팀은 인공위성의 궤도를 정육면체 지구의 면과 모서리의 가운데를 잇는 선으로 가정하고 인공위성의 궤도도 계산했다. 인공위성이 처음 궤도에 안착한 높이가 지구 중심에서 지표면까지 거리의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우선 두 사람의 지문이 겹치지 않은 부분에서 지름 6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미세한 점 60개를 찍어서 분광 스펙트럼을 얻고, 그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지문의 주인을 식별할 수 있게 했다. 그런 뒤 겹친 부분을 똑같은 방식으로 촬영해 분광 스펙트럼을 얻어 학습된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래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 ...
- Intro.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별 하나가 막 우주로 떠났다.”3월 14일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타계했다는 소식에 지구촌 곳곳에서 애도가 쏟아졌다. 우주의 시작과 끝을 탐구하는 뛰어난 지성뿐 ...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스티븐 호킹 박사는 연구뿐만 아니라 용기와 끈기, 탁월한 유머감각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줬다. 학회에서, 또는 책과 강연 등을 통해 그를 만난 사람들은 그와 만났던 기억을 ... .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2단계부터 초기 사춘기에 해당한다. 가령, 음모의 경우 10세 이하에서 음모가 없는 시절이 1단계, 음경과 음낭의 기저부에 솜털 같은 털이 생기는 시기가 2단계, 털이 허벅지 내측까지 뻗친 상태를 5단계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의학적인 치료가 필요할까. 정상적인 사춘기의 시작점은 ... ...
- Part 6. ‘키스’로 시작 그들의 性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어색하다. 아하센터와 서울시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62.7%가 ‘19금’ 표현물을 관람한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대부분 직접 찾기 보다는 인터넷으로 우연히 봤고, 인터넷 창을 끄는 식으로 바로 없애버렸다. 보고 난 뒤의 감정은 꽤나 충격적이고, 더럽다고 느꼈으며, 따라하고 ... ...
- Part 5. 서울이 가장 심하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아직까지 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다. 기존 연구는 PM10이나 PM2.5 등 입자 크기에만 주목해, 어떤 성분이 어떤 질환을 일으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때 특정 질환으로 입원하는 환자 수가 증가하는 걸 보고 짐작만 할 뿐이다. ... ...
이전6146156166176186196206216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