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입자로 암 치료하는 세상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상2008포스코청암과학상 수상1997년~현재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2002년~현재교육과학
기술
부 창의연구단 산화물 나노결정 연구단 단장2005년~현재‘Advanced Materials’ 편집위원2006년~현재‘Chemical Communications’ 편집위원2009년~현재‘Chemistry of Materials’ ... ...
경영학에 흥미가 있는 이과계열 학생이라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경우가 많아 불규칙적인 생활을 하기 쉽습니다.- 고객을 상대하는 업무이다 보니 정보
기술
이나 업무분석도 중요하지만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부분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잦은 불만을 표출하는 고객에게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많은 문서 작업을 하다 보면 시간에 ... ...
재료역학신뢰성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방법의 개발과 오차 보정 그리고 기존의 측정 결과를 유용한 정보로 재구성하는 기법 등
기술
적인 측면도 연구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빌딩이나 다리 같은 대형 건축물에서부터 PDP, LCD 등 소형 가전제품까지 모든 물체의 재료들은 역학적인 성질이 사용목적에 적합한지 평가받는다. 모든 공학 설계 ... ...
화려한 성과보다 과정 제시해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만들고 싶다면 ‘인정받은 성과’를 나열하기 보다는 ‘꾸준히 노력해온 자세’를
기술
하라”고 조언한다. 면접 때 한 학생은 집에서 스스로 만든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구의 발전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활동내역을 제출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수재능우수자 전형에 지원했던 또 다른 학생은 ... ...
눈 깜짝할 사이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나타났다 사라지는 우주의 섬광까지 관측할 수 있는 차세대 우주망원경(MTEL)이 우리
기술
로 개발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입니다. 주인공은 이화여자대학교 물리학과 박흥식 교수팀으로, 현존하는 망원경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관측할 수 있는 차세대 우주망원경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이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재미있다고만 생각했던 터치 스크린에 이런 비밀이 숨어 있을 줄이야! 특히 햅틱
기술
과 함께 이렇게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니 정말 대단해. 이 분야에 대해 좀 더 공부를 해 봐야겠는걸? 그런 의미에서, 아빠! 당분간 이 최신 휴대전화는 제가 맡아서 사용해 볼게요, 호호~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위치한 필리핀대(University of Philippines)로부터 넓은 부지를 지원받아 벼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에 대한 연구를 한다. 필리핀대는 세계 100위권 안에 드는 명문대로 국제미작연구소와 협력연구를 많이 수행한다.국제미작연구소는 우리나라와도 관계가 깊다. 우리나라 쌀 자급률을 크게 끌어 올린 ... ...
차세대 여성 공학인의 산실 WIE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찾다’를 처음 시작하던 때의 얘기를 들려줬다.“2006년 견학 장소로 삼성전자 생산
기술
센터를 진짜 어렵게 섭외해 공대 여학생 40명을 버스에 태우고 갔어요. 여대생들은 현장을 돌아보고 나서 그곳에 취업한 지 한 달 된 여자 선배를 만나 30분간 얘기를 나눴죠. 그 친구는 준비를 안 했는지 말도 잘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수 있다.오 학예사는 문화재연구소의 요청에 따라 훈증실 제작 자문위원과 입찰 업체
기술
심사위원도 맡았다. 문화재 훈증소독과 관련된 노하우 전수에 나선 것이다.오 학예사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대부분 국공사립박물관에는 제대로 해충방제 시설을 갖추지 못한 곳이 많다”며 “문화재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교수는 “비행기처럼 날개가 고정된 비행체를 설명하는 공기역학으로는 나비의 비행을
기술
할 수 없다”며 “나비가 한가롭게 날개를 펄럭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여러 가지 공기역학 메커니즘을 연속적으로 구사하는 능숙한 비행”이라고 말했다.“나비는 날지 않는다”고 주장했던 ... ...
이전
615
616
617
618
619
620
621
622
6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