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4,309건 검색되었습니다.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04
- 측정했다.KSR-II는 2단형 고체연료 로켓으로 1997년, 1998년에 두 번 발사돼 로켓의 관성항법장치와 자세제어시스템을 시험했다. 2002년 발사된 KSR-III는 우리나라 최초의 액체추진로켓으로 소형위성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 나로호 발사에도 이때 얻은 경험이 도움이 됐다. ...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04
- 전기 저항이 사라져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이다. 자기공명장치(MRI), 자기부상열차, 슈퍼컴퓨터, 핵융합발전에 활용할 수 있다.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가 있다?지난 1월 6일 독일 과학자들이 음의 절대온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해 과학계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독일 ... ...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04
- 세계에 흩어져 있는 구글의 데이터센터(방대한 양의 자료와 파일이 오고가는 서버와 저장장치를 한 데 모은 곳) 중 한 곳에 도착한다. 그 곳에서 구글이미리 수집해 놓은 해당 검색어가 들어있는 자료와 비교해 일치하는 내용을 한다. 웹에 올리는 문서에 robot.txt 파일을 만들어 놓으면 구글의 크롤링 ... ...
-
- 4화 평행우주에서 찾은 사랑수학동아 l201304
- 자신있게 말했다.“아까 받은 무적 코인의 정체는 무한궤도 에너지 장치예요. 제가 이 장치의 사용법을 알려 드릴게요. 폴리스님, 이쪽으로….”그때 데카르트가 말했다.“난 이곳에 남겠네.”“네에!? 하지만 그렇게 하면 데카르트 님이 사는 시공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 아니에요 ...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04
- 수 있습니다.미국 마운틴뷰 구글 메인 빌딩에 들어서면 고해상도 대형 스크린과 조작 장치를 볼 수 있다. 지구와 달, 화성의 곳곳을 원하는 해상도의 위성사진으로 볼 수 있는 ‘구글 어스’ 체험 공간이다. 실제로 조작해 보니 우리 집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몇 초 간의 조작으로 대형 스크린에 뜬 ...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04
- 하며 중첩된 상태를 잃을 수 있다. 사람의 의도가 없더라도 주변 환경이 스스로 ‘관측장치’가 돼 하나의 상태로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양자 결잃음 현상이라 한다. 최교수는 “노에틱 사이언스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가 옳고 그름을 떠나, 양자역학이 그 실험결과를 뒷받침해주거나 설명해주지 ...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04
- 실험실에서 실험장치 부품을 몰래 바꾸거나 제거하면서 블론로의 실험을 견학했어. 실험장치를 고장내도 블론로는 여전히 N선이 보인다고 주장했지. 우드는 N선을 발견한 것은 허위사실이라는 보고서를 네이처에 보냈어. N선과 관련된 수많은 논문을 쏟아내던 프랑스 과학자들을 한순간에 바보로 ... ...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과학동아 l201304
- 내는 소형 로켓 5개를 설치했다. 여기에 500g의 힘을 내는 자세제어용 추력기, 밸브제어장치, 착륙제어 컴퓨터 등을 설치해 원격으로 추진력과 착륙 방향을 조종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정도 힘은 지구 중력의 6분의 1인 달에서 600kg 정도의 물체를 착륙시킬 수 있다. 모형 착륙선은 철골에 고정돼 ... ...
-
- 와이어 타고 춤추며 ♪ 큰 소리 로 노래 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04
- 나비요정이 하늘에서 날아 내려오는 장면에 쓰인다. 와이어는 사람 뿐 아니라 무대 장치에도 쓴대! ‘오페라의 유령’에는 와이어에 매달린 샹들리에가 약 15미터 높이에서 관객석으로 추락하는 장면이 있지.그 샹들리에는 관객들 머리 위 2미터 부근까지 내려왔다가 무대로 자연스럽게 끌려간다며 ...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04
- 이때 악기의 전체 현의 길이는 정상파의 1/2파장을 정수배 한 것과 같다.클라드니 장치는 금속판의 한 점을 고정해 이와 같은 ‘정상파’를 재현하는 원리다. 금속판을 고정했던 한 점이 ‘마디’가 되고, 고정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이 ‘배’가 된다. 마치 현악기를 켜듯 활로 금속판을 켜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