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범위
구획
지방
영역
지대
구내
d라이브러리
"
구역
"(으)로 총 689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탐사단은 먼저 저동에서 섬목까지 배로 이동해 섬 북쪽사면 관찰에 들어갔다.행정
구역
상 북면으로 불리는 섬목~천부동~현포에 이르는 길은 도로사정이 나쁜 울릉도 안에서도 비교적 일찍 길이 뚫린 곳이라 탐사단은 4륜구동 트럭으로 달리며 필요할 때마다 내려 지질형성의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아직 그런 협조를 실현하지 못 하고 있다"고 꼬집는다.중국에는 모두 14개의 판다 보호
구역
이 있는데 각각 고립된 상태에서 어려움에 맞닥뜨리고 있다. 지역마다 판다가 얼마 남지않아 짝짓기가 어렵고 일단 짝을 지어 새끼를 낳는다해도 어미가 이들에게 충분히 젖을 먹여 길러내질 못한다.그러나 ... ...
생생한 체험으로 살아있는 과학교육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또는 열에너지가 화학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해주고 있다.한편 생활과학
구역
은 이 박물관에서 가장 비중있는 곳으로 동식물들의 탄생과 성장을 비롯해 건강에 관련된 주제들을 소화하고 있다. 서비스로 이곳에는 방문객들의 심폐기능 지구력 순발력 등을 측정해주는 코너를 마련해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당시 습지 가운데 1천3백㎢의 지역이 금렵
구역
으로 설정됐다. 현재는 국립야생조수 보호
구역
으로 내무부의 관리들이 상주하고 있다.습지의 크기를 살펴보면, 폭은 약 40㎞, 길이는 약 64㎞이며, 면적은 1천6백1㎢에 이른다. 습지의 서쪽은 업랜드(Upland)라고 부르는 0. 0006%의 극히 완만한 경사를 ... ...
얼굴사진으로 카드 범죄 막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곧 은행의 현금자동서비스 등에 채택될 전망인데, 그는 7년전 잘못된 ID카드 덕분에 통제
구역
인 군사기지에 들어갔던 경험이 자신에게 이 신원확인 시스템의 아이디어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 ...
고향 찾아가는 희귀한 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않았다. 여러마리의 펄저왈스키 말들이 사로잡혀 동물원에 갇혔는데, 그 말들은 보호
구역
내에서 번식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어 보였다. 그 결과, 이젠 자연환경하에서는 한마리도 남아있지 않지만 약 1천여마리가 여러 동물원에서 사육되며 번성하고 있다.뜻있는 사람들은 이제 이 희귀한 말들을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나타낸다. 이들 혜성은 천문대 망원경이나 위성(인공천체)관측용 슈미트 카메라의 관측
구역
과는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망원경은 박명(薄明)한계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목표물인 은하나 위성들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혜성이 나타날 때는 작은 쌍안경으로도 확인할 수 있는 ... ...
1억년전 공룡의 뒷모습이 보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982년 1월 겨울방학을 이용해 필자는 학생들과 함께 남해안 일대의 지질을 조사했다. 조사
구역
은 전남 광양군 해안으로부터 하동군 사천군 삼천포 해안을 지나 고성군 해안까지로 정했다. 이들 지역에서 중생대 해성층을 발견하는 것이 조사의 주요 목적이었다.육성층에서는 공룡과 같은 육상동물과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우리나라 새는 사람을 심하게 경계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는 것. 일본에 갔을 때 보호
구역
안의 모든 새들이 10m 거리에서도 포즈를 취해주는 것을 보고 김씨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우리나라 새는 1천m 밖에서도 경계 태새에 들어간다는 것. 1천m와 10m의 차이는 새를 보면 '돌부터 집는 문화'와 ...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알아내는데 두었다. 그들은 호수 밑 3백m지점까지 카메라와 감지기를 내려보냈고 고온
구역
주위에 펼쳐져 있는 진흙의 온도와 모양, 염도 등을 측정했다. 어떤 특정지점이 열수배출구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면 곧바로 유인 또는 무인연구용 잠수정을 내려 보냈다. 그 곳의 자세한 지도를 그리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