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Ah 둘 중에 하나만 골라 YES or YES! Ah ah 하나만 선택해 어서 YES or YES’. 추천 알고리듬을 쓰면 힘들게 고를 필요 없다! 추천 알고리듬 사업으로 성공했을 뿐만 아니라 훤칠한 키, 잘생긴 외모로 SNS에서 유명세를 탄 젊은 CEO ‘알고 리’가 무지개 라이브에 떴다! ‘사기캐’ 알고 리의 싱글라이프를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래서 우한대의 방학 풍경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었다. 한국 유학생들이 하나둘 한국으로 돌아가고, 중국 학생들도 자리를 비우면서 휑해진 캠퍼스가 상당히 외롭고 쓸쓸하게 느껴졌다. 빨리 시험이 끝나서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뿐이었다. 그래도 유학생에게 방학의 즐거움이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못하셨나요? 누군가 제 초대장을 들고 파티에 참석했을지 모르거든요.”꿀록이 주위를 둘러보며 말했어요.“그러고 보니, 조금 수상해 보이는 동물이 있긴 했는데…. 초대장을 내밀며 눈을 피하더라고요. 처음 보는 동물이었어요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음식의 재료와 일으키는 화학반응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화학반응은 둘 이상의 물질이 서로 무언가를 주고받을 때 일어난다. 그 무언가는 분자일 수도 있고, 아니면 전자일 수도 있다. 더불어 화학반응에는 이 무언가들이 오고 갈 수 있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 ...
- [수학뉴스] 힐베르트 3번 문제 고차원에서도 풀 실마리 발견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도형을 조각내 다른 모양의 도형을 만들 수 있으면 이 둘을 ‘분할합동’ 관계라고 합니다. 1900년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는 20세기에 풀어야 할 23가지 문제 중 하나로 분할합동 문제를 지목했습니다. 부피가 같은 두 다면체에 대해 하나를 유한개의 조각으로 나눠서 다른 하나를 만드는 것이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질량은 ‘광도 질량’이라 하고, 중력을 통해 계산한 질량은 ‘중력 질량’이라 합니다. 둘 사이의 비를 계산해 보면 왜소은하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10 이상의 값이 나옵니다. 중력 질량이 광도 질량에 비해 10배 이상 크다는 뜻이죠. 이를 통해 왜소은하에는 인류의 기술로 관측되지 않는 암흑물질이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연구소예요. 힉스 입자를 검출한 대형강입자가속기(LHC)를 보는 게 제 주된 일과였죠. 둘레가 27km나 되는 원형 터널인 LHC는 기계적인 아름다움이 있거든요. 마치 하나의 작품같았습니다. LHC를 앞에 두고 저와 친하게 지냈던 헬가 팀코 박사와 대화한 시간도 무척 재미있었습니다. 전 팀코 박사를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전까지는 정보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양자 중첩의 특성 때문입니다. 또 양자는 얽힘(둘 이상의 양자가 마치 끈으로 연결된 것처럼 서로 상태가 연결된 현상)이라는 독특한 특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나 많은 큐비트를, 얼마나 오래 얽힘 상태로 유지하는가에 따라 양자컴퓨터의 성능이 ... ...
- [본격 게임 채널] 쿠키런 : 오븐브레이크, 이차함수로 젤리 많이 먹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보물’을 장착하면 부활이나 추가 아이템 생성 같이 유리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둘을 잘 조합해야 특정 맵에서 점수를 많이 얻을 수 있죠.기본적으로는 높은 점수를 얻어 순위를 비교하는 방식이지만, 콘텐츠에 따라 대결을 벌이는 방법이 제각각입니다. 트로피 경기는 실력이 비슷한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11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폴리매스 프로젝트에 참여했죠. Q장래희망이 무엇인가요?수학자나 과학자예요. 어쩌면 둘 다 할지도 모르고요. 만약 수학자가 된다면 리만 가설 같은 미해결 난제를 풀고 싶고, 과학자가 된다면 핵융합 발전 같은 신재생 에너지 기술을 완성해 인류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요. Q폴리매스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