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심술궂던 구름, 적성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또한 풍력발전이 화성의 주력 에너지원이던 태양광발전을 보조하는 것은 물론,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부는 장소가 있단 사실도 발견했죠. 일부 지역에서는 풍력발전량이 태양광발전량의 최대 3.4배에 달하기도 했습니다. 기존의 유력한 화성 에너지원인 태양광발전은 화성의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않는 새로운 이미지, 글, 영상 등을 만들어내는 기술입니다. 2014년 처음 등장했죠. 이때 사용된 인공지능은 여러 뉴런●이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만들어져 신경망이라고 불립니다. 예를 들어, 안경 쓴 남자의 얼굴 이미지를 생성한다고 생각해 봐요. 기존 ... ...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공기 중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45m 뻗어 나가는 데 성공했다. 이는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고 빛을 장거리 전송하는 새로운 방식이 될 수 있다. 미국 메릴랜드대 연구팀은 대학 내 복도에서 레이저가 공기 중에 생성한 공기 도파관을 통해 45m 진행하는 것을 시연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산호들이 사는데, 산호의 골격을 이루는 방사성 탄소의 비율을 계산하면 화석연료의 사용 시점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한 열두 곳의 후보 중 인류세실무연구단의 투표를 거쳐 과반수(60%)가 찬성하면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층이 정해진다. 그렇다면 언제 최종적으로 ... ...
- [기획] 당신이 몰랐던 탄소배출, 디지털 탄소발자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는 이미지들이다. 과연 온실가스는 여기에서만 배출될까. 최근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인 ‘디지털 탄소발자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디지털 탄소발자국이 무엇이고, 어디서, 어떻게 찍힌다는 것일까?디지털 탄소발자국은 과연 실체가 있는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동작하면서 발생하는 폐열을 식히는 냉각 장치도 가동돼야 한다. AI 모델을 만들고 사용할 때도 엄청난 에너지가 소모된다. 수많은 데이터를 모아 AI를 가르칠 때 연산 횟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엠마 스트러벨 미국 매사추세츠대 연구팀은 2019년 대규모 딥러닝 AI 하나를 교육하는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무게 때문에 엔진의 효율을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 게다가 너무 비싸서 텅스텐 터빈을 사용하는 항공사는 경쟁력이 없을 것이다. 각국 정부는 고온에서 내구성을 가진, 그러면서 동시에 무겁지 않은 금속을 오랫동안 개발해왔다. 높은 온도에서 잘 견딘다고 알려진 니켈(Ni)-크롬(Cr) 합금에 다양한 ...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되는 방식을 택했다”며 “전체 예산 중 75% 정도를 민간 기업을 위한 조달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비용의 약 65%를 록히드마틴, 보잉 등 대기업에 지원한다”고 했다. 이 대표는 이어 “NASA의 경우, 민간에게 자금을 지원하고 시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지만, 민간이 위성, 발사체, 지상국 ... ...
- [People] 62조까지 원주율 계산한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때문에 원주율을 계산하는 매우 효율적인 알고리듬이에요. 그다음 BBP 알고리듬을 사용해 62조 8000억 개의 숫자 중 마지막 32자리를 검증했습니다. BBP 알고리듬을 이용하면 임의의 소수점 아래 원주율 자릿수를 알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이전의 모든 숫자를 계산하지 않고 소수점 아래 30498번째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카르다노(1501~1576)가 삼차방정식을 푸는 과정에서 처음 제곱근 안에 음수가 있는 수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우스가 1799년 박사 논문에서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라는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해냄에 따라 허수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지요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