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수소차 공급계획과 지자체별 보조금 제한 등으로 지자체 공모에 선정돼야 수소차를
살
수 있다. 수소차가 비싼 이유는 다른 차에 없는 연료탱크와 연료전지 스택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연료탱크는 연료인 고압 수소 저장 탱크다. 연료전지 스택은 연료전지 셀을 쌓아놓은 것이다. 정성욱 ... ...
[일본유학일기] 미타카 프리즌 탈출기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마음이 기울었다. 그때 기숙사 친구들은 방값이 워낙 싸니 “우리는 미타카 프리즌에서
살
아남는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는 생각으로 버티자”며 나를 설득했다. 하지만 나는 결국 입학 1년 만에 학교 캠퍼스와 딱 붙어있는 자취방을 구해서 미타카 프리즌을 탈출했다 ... ...
[탐험대학] 실패에서 배운다! 탐험 페스티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도운 나라스페이스 박재필 대표는 “인공위성을 발사하고 싶다는 생각이 처음 들었던 13
살
때는 도와줄 사람이 없었고 외로웠다”며 “당시 경험이 이번 탐험대학에 참가하게 된 주된 동기”라고 말했어요. 박 대표는 “청소년들이 나보다 인공위성을 더 잘 만들어 깜짝 놀랐다”며, “앞으로도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친구들 중 38%(141만5631마리)가 약물 안전성 평가에 참여했어요.저는 지구 시간으로 1년
살
았어요. 평균수명이 2~3년이니까 인간으로 따지면 40대쯤 됐겠네요. 지난번에 1g당 1억 원짜리 비싼 밥을 먹은 뒤로 건강관리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인간 과학자들이 와서 제 건강 상태를 계속 체크해요. 제가 ...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제국의 역습’을 본 사람들이 품었던 ‘저 괴물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대체 뭘 먹고
살
지?’ 같은 질문에 답하기 위한 설정도 생겼다. 엑소고스는 규소 기반의 생명체다. SF에서 종종 가능성을 탐구하는 생명 형태다. 인간을 비롯한 지구 생명체는 탄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생명체를 이루는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경남 고성을 찾는 독수리는 1~2
살
인 어린 개체가 많아요. 먹이가 부족해지면서 3
살
까지 생존 확률이 20%가 채 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에게 주기적으로 먹이를 주는 활동은 정말 중요하지요. Q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나요?모든 생명에게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요. 작은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그때까지 지구가 버텨줘야 하니까요. 기후변화는 심각한 문제고, 지구가 로봇만이
살
수 있는 행성이 되는 일은 겪고 싶지 않거든요. 작가님의 소설 ‘테세우스의 배’에는 인간형 로봇뿐만 아니라 다양한 로봇이 등장하네요.한 로봇은 전신이 기계로 바뀌는 사이보그입니다. 신체를 하나하나 ... ...
[수학뉴스] 12세 소년의 발견! 간단한 7의 배수 판정법
수학동아
l
2020년 01호
‘트루리틀 히어로 어워드’에서 ‘2019 트루리틀 리더십 히어로 상’을 받았습니다. 12
살
에 ‘가장 쉬운 7의 배수 판정법’을 찾아낸 치카처럼 여러분도 새로운 수학적 발견에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 ...
할머니 범고래 없인 못
살
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가진 고래는 사람처럼 수명이 남아있어도 생식 능력을 잃는 폐경 현상이 나타난 채로
살
아간단다. 인간과 닮은 듯 닮지 않았네. 또 다른 특징은?다른 동물들은 우리 범고래를 보고 무서워하지만, 실은 상당히 엄마 껌딱지야. 2012년, 영국 엑서터대학교 대런 크로프트 교수팀이 북서태평양에 사는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성분 중 이산화황은 물을 만나면 황산이 된다. 황산에 물이 오염되면 식물도 가축도
살
수 없는 환경이 된다. 또 황산은 전도성이 높아 합선을 일으키고 결국 기간시설을 모두 마비시킨다.화산가스에 의한 피해도 무시할 수 없다. 이 교수는 “화산재보다 무서운 것이 화산가스”라고 말했다. 그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