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품질 개선 등 기존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고민하는 학문이 산업공학이다. 새로운 산업 설계도 산업공학의 중요한 분야 중 하나다. 홍 학과장은 “현재는 기술 그 자체보다 소비자나 사용자들 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더 중요한 시대”라며 “이들이 원하는 것을 파악해 지금까지는 없던 새로운 ...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진흥기본계획(2017~2021년)’에 따라 ‘한국형핵융합실증로(K-DEMO)’ 구축을 위한 장치 설계 등 초기 연구를 하고 있다. 정 단장은 “ITER 운영의 성공 여부에 따라 각국의 DEMO 건설 계획이 결정될 것”이라며 “규모가 큰 만큼 2~3개 인근 국가 단위로 협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INTERVIEW "LNG도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공신’의 과학교과 공부 비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탐구하는 즐거움을 느꼈다고 합니다. 반면 학생 B는 과학 관련 프로젝트를 하면서 자신이 설계한 결과가 정확하게 나왔을 때 즐거움을 느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과학 관련 도서를 읽으면서 새로운 이론을 깨우치거나 존경하는 과학자의 삶을 이해하면서 과학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수도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로버츠 크릭에 사는 스콧 틸리라고 해요. 저는 낮에는 보트의 전력시스템을 설계하는 전기 기술자로 일하고, 밤에는 인공위성을 추적하고 있어요.Q. 어떻게 위성을 추적하게 됐나요?학교에서 수학과 과학, 공학을 배울 때 정말 재밌었어요. 그런데 전기 기술자로 일을 하게 되니 학창시절에 배운 ...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가 갇힐 미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미로입니다. 800m2 넓이에 펼쳐져 있는 이 미로는 아르키메데스 나선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해 ‘아르키메데스 미로’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아르키메데스 나선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회전각에 비례해 커지는 소용돌이 모양입니다. 어린 고사리를 비롯해 자연에서 찾아볼 수 있는 나선이죠 ... ...
- 초콜릿 강에서 찾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물질에 맞게 변형한 식입니다. 공기의 흐름을 예측하는 일기예보, 항공기와 자동차 설계 같은 공학, 심지어는 혈관 내의 혈액 확산 같은 생물학에도 널리 쓰이죠.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은 이미 아주 많은 분야에서 실제로 쓰이고 있지만, 수학적으로는 아직 풀리지 않은 난제 중 하나이기도 ...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지금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유연하며 가벼워야 한다. 또 좁은 면적으로도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집광형으로 설계해야 한다. BIPV 기술은 현재 어느 수준까지 왔을까. 2013년 말 신축된 200m 높이의 전국경제인연합회 건물(서울 여의도 소재)은 벽, 발코니, 창문 등 외장재를 BIPV 모듈로 제작한 성공적인 사례로 꼽힌다.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다시 계산하고 방향을 바꾼다. 현재 중거리 전송은 사방이 벽으로 이뤄진 방을 가정하고 설계되는 만큼 직선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벽에 반사돼 전자기기에 도달할 각도를 계산한다. 사람이 계속 움직이더라도 지속적으로 이를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안테나가 각도를 바꿀 수 있다.다만 ... ...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잘려나간 턱뼈의 모양을 파악했다. 그런 뒤 컴퓨터로 재건할 환자의 아래턱 모양을 설계하고 이를 티타늄 재료로 제작했다. 마지막으로 이 티타늄 재료를 아래턱에 삽입해 턱의 모습을 원래대로 회복시켰다.전 교수를 비롯한 가톨릭대 가톨릭중앙의료원 의료진과 조동우 POSTECH 기계공학과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경영·경제에 관심이 있다면 허 학과장이 맡고 있는 지구환경경제연구실에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다만 허 학과장은 에너지자원공학의 어느 분야를 전공하든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장 중심의 거친 문화가 녹아 있는 산업이라 사람과 관계를 잘 맺고 사람들을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