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결
순정
청결
깨끗함
청정
진짜
증류수
d라이브러리
"
순수
"(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강법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철에 탄소를 더해 강한 철강을 만드는 방법(초강법)을 조상들이 알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순수
한 철 자체는 부드럽기 때문에 숯을 태워 탄소를 더해야 단단해지는데 이것은 무척 어려운 기술이었습니다.하지만 우리 조상들은 쉽게 부러지지 않고 날카로운 철제 무기를 만들어 냈고 덕분에 고구려를 ... ...
돌이라고 다 같은 돌은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광물은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원소가 모여 만들어진다. 원소는 더 이상 분해되지 않는
순수
한 물질이다. 지각의 대부분을 이루는 중요 원소는 여덟 개다. 이를 지각을 구성하는 8대 원소라고 한다. 세계 여러 지역의 암석을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지각 속에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원소는 산소와 ... ...
태양을 3차원으로 관측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입자에 의한 산란 J W S 레일리가 처음 이 현상을 설명하여 레일리 산란이라고 한다
순수
하게 자율신경계에서만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생체의 비특이적 증후군 1934~36년 프랑스의 실험병리학자 J 레일리가 침습과 자율신경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식물신경 과잉자극에 ... ...
DAY1 '골리앗' 최홍만이 신체검사 불합격?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지상과 똑같은 산소 공급 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잠수병을 막기 위해 질소가 없이 100%
순수
한 산소로 호흡하는 우주복을 입기도 하므로 규칙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장불합격 사항 : 염증성 장 질환, 과민성 대장증후군불합격 이유 : 스트레스로 인해 증상 악화 우려.신장불합격 사항 : 만성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특수 유기용매인 인산트리프틸(TBP)에 넣어 플루토늄을 분리시킨다. 이를 다시 정제해
순수
한 플루토늄을 얻는다.) 핵실험을 했다”고 결론지었다.핵실험을 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미국 몬트레이 비확산연구소 신성택 박사는 라디오 방송을 통해 “핵실험은 완성된 핵무기를 직접 터뜨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동안 시행착오를 거쳐 12개의 단백질 하부단위를 모두 포함한 RNA중합효소 전체 복합체를
순수
하게 분리해 정제시키고 결정으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중 가장 큰 하부단위인 Rpb1과 Rpb2는 유전정보가 담긴 DNA 영역을 정확히 인식하고 붙잡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사실 RNA중합효소는 스페인의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등의 열처리용 광유(鑛油) 강을 담금질할 때 이것을 급랭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체이다
순수
한 광유 이외에 유채유(油菜油)를 혼합한 것도 있다발화점(發火點)과 인화점(引火點)이 높고 냉각속도가 알맞으며 냉각효율이 양호해야 한다 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1892년 D I ... ...
사과 원자, 포도 분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구성성분’이라고 할 때 금덩어리가 어떻게 이뤄져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없다. 금은
순수
하며 다른 것과 섞여있지 않다는 사실만 뜻한다.과일 하나를 자세히 보면 씨, 과즙 등으로 이뤄져 있다. 즉 과일의 공통적인 기본구조가 있다. 물질의 기본구조는 무엇일까.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성질에 대한 ... ...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대학 석·박사 과정 장학생’이 있다.‘해외유학 장학제도’는 사회과학,
순수
자연과학, 정보통신 분야를 전공한 국내 대학 4학년 또는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30명을 선발해 박사학위 취득까지 지원한다.‘ 아시아대학석·박사과정 장학생’은 재단이 정한 아시아 대학의 석사나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캔버스에 원색으로 점을 찍으면 이 점들이 우리 눈의 망막에서 합쳐지면서 더
순수
한 색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프랑스의 모네(Claude Monet)가 빛을 파동으로 봤다면 쇠라는 빛을 연속적으로 방사되는 입자로 본 것이다. 당시 물리학자들이 갑론을박하던 빛의 파동설과 입자설이 미술에서는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