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세로"(으)로 총 741건 검색되었습니다.
- 누가 이길까? 선거 개표의 수학수학동아 l2016.04.10
- 둘의 표를 합한 값입니다. 개표수가 총 5일 때 시진과 모연이 각각 3표와 2표를 얻었다면 세로축 1에 점이 찍히는 것이지요. ➊ 첫 표가 낙선한 후보일 확률 일러스트 이창우 - 수학동아 제공 처음 열 표를 살펴본 결과 ‘시진 시진 시진 모연 모연 시진 모연 시진 모연 모연’으로 둘의 득표수가 ... ...
- 우리 집 어디 갔어요? 살 집 잃은 청설모2016.04.07
- 분명합니다. 다시 다람쥐로 돌아와서 다람쥐의 색은 갈색 빛에 등에 5개의 검은 세로줄이 있고 긴 꼬리를 갖고 있습니다. 집은 돌 틈이나 땅 속 또는 나무에 굴을 파고 살지요. 먹이로는 도토리나 곡식의 낟알을 좋아합니다. 주로 땅에서 생활하며 종종 나무 위로 올라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 ...
- 사회가 정직해야 개인도 정직하다2016.04.04
- 데이터로 산출한 23개국 사람들의 개인 정직성 그래프다. 가로축이 보고한 숫자이고 세로축이 누적빈도다. 검은 직선은 100% 정직한 경우, 짧은 점선은 100% 부정직한 경우, 긴 점선은 100% 정당화된 부정직성인 경우다. PRV가 높은 나라 사람들(자주색)의 주사위 평균 숫자는 3.53으로 정당화된 부정직성 ... ...
- 휘는 것보다 구부리는 게 한수 위동아일보 l2016.04.01
- 조만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태블릿PC 크기인 디스플레이를 세 번 접는 방식과 세로로 긴 디스플레이를 폴더폰처럼 접었다 폈다 하는 방식 등이 거론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기술은 두루마리처럼 말 수 있는 롤러블.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 ...
- 빛과 열로 신경세포 활성 조절2016.03.30
- 쥐의 신경세포를 자극해 얻은 결과다. 나노막대는 가로 15㎚(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세로 60㎚ 크기다. 금 나노막대와 미세 전극 칩을 결합한 광-전기 복합 자극 칩 모식도. - KAIST 제공 이 결과를 응용해 연구팀은 광-전기 복합 자극칩 플랫폼을 만들었다. 생체 친화적인 ‘폴리에틸렌글리콜 ... ...
- 퀀텀닷-풀HD-UHD… 어떤 TV가 좋은거야?동아일보 l2016.03.23
-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준이다. 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선명하단 의미다. 가로 해상도 1920, 세로 해상도 1080으로 200만 개의 화소가 영상을 보여주던 풀HD는 최근 초고화질(UHD·3840×2160)로 옮겨가는 추세다. 특히 내년부터 정식으로 UHD 방송이 시작되는 만큼 지금 TV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라면 UHD 화질을 ... ...
- 작아도 성능은 ‘거인’… 100kg 급 소형 인공위성 뜬다2016.03.18
- 소생하는 3월,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새로운 위성의 탄생을 앞두고 분주하다. 가로 세로 60㎝가 채 되지 않고 태양전지판을 펼쳐도 2m에 불과한 이 위성의 이름은 ‘차세대 소형 위성’. 채장수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차세대소형위성사업단장은 “내년 상반기 발사를 앞두고 있다”며 “한국의 첫 ... ...
- 2㎞ 떨어져도 사물인터넷으로 연결 가능2016.03.17
- 기존 와이파이는 전파 도달거리가 수십m에 불과했다. 현재 연구진이 개발한 칩은 가로세로 1.5㎝로 향후 크기를 더 줄여 1㎝ 이하인 초소형 칩도 제작할 계획이다. 전송속도는 최대 1.메가비트(Mbps)급으로 사물인터넷 신호 전달에 쓰기에는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 ETRI 연구진은 이 칩이 차세대 ... ...
- [알파고 2승] 알파고, 네 부모님이 누구니2016.03.11
- 이 과정에서 알파고의 ‘형’ 격인 바둑 프로그램 ‘모고(MoGo)’가 탄생했다. 모고는 가로세로 9×9 바둑의 고수다. 2008년에는 한국의 김명완 9단과 9점 접바둑 즉, 모고가 먼저 바둑돌 9개를 놓고 두는 대국에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그는 1998년 하사비스 CEO와 엘릭서 스튜디오를 공동 창업해 ... ...
- ‘투명망토’ ‘스텔스 잠수함’ 만드는 메타물질, 손쉽게 설계한다2016.02.25
- 따라 기계적인 강도와 전파속도가 크게 다를 뿐만 아니라, 단위 구조의 부피와 가로세로 길이 비율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조가 점점 얇아질 때 상대적으로 강도가 세진 것이다. 또 철이나 탄소 화합물 등 소재를 바꿔 가면서 같은 실험을 반복한 결과, 소재보다는 구조가 물질의 ... ...
이전5758596061626364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