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위
학사
논문
스페셜
"
학위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의 미국지사에서 1년 일하다 회사 장학금으로 위스콘신대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1945년
학위
를 받고 회사로 복귀해 항히스타민제 연구를 하던 제라시는 본인이 하고 싶은 스테로이드 연구를 하지 못하게 되자(스위스 본사 연구소에서 하기 때문에) 실망하고 있었는데 이때 멕시코의 신텍스(Syntex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녹색 화학의 선구자 ‘이브 쇼뱅’
2015.12.25
반성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05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이브 쇼뱅(Yves Chauvin)도 박사
학위
가 없었지만 투 교수와는 달리 큰 불이익을 당한 것 같지는 않다. 1930년 프랑스 국경선 근처 벨기에에서 태어난 쇼뱅은 부모가 프랑스인이었기 때문에 국경은 넘어 프랑스의 초등학교를 다녔다. 1954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
2015.12.24
듀크대에서 석사
학위
를 받고 재도전해 입학한 뒤 1939년 동위원소 분리 연구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벨전화연구소에 취직한 타운스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레이더 연구를 했고 1948년 컬럼비아대 교수가 됐다. 전시에 행한 레이더 연구를 바탕으로 타운스는 1951년 마이크로파 증폭 장치, 즉 메이저 ... ...
‘쿠크다스’ 심장 보듬는 칭찬 방법
2015.12.22
사람이 되는 것도 멋진 일일 것이다. ▶ 필자소개 : 지뇽뇽 ◀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
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지질학을 전공했고 1962년 하버드대에서 퇴적물의 황화철 형성을 주제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시카고대를 거쳐 1965년 예일대에 자리를 잡은 버너는 2007년 은퇴할 때까지 42년 동안 봉직했고 이후 명예교수직을 유지했다. 버너는 퇴적물에서 광물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을 수식화했고 퇴적물 속성작용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독일 과학계 구조조정을 이끈 ‘후베르트 마르클’
2015.12.21
동물행동학자들이 포진해 있었고 이들의 영향을 받은 마르클은 1962년 동물학으로 박사
학위
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와 록펠러대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한 마르클은 독일 프랑크프루트 괴테대에서 1967년 사회적 곤충의 의사소통 행동을 주제로 강사 자격증을 얻었다. 이듬해 다름슈타트공대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
2015.12.15
아는데~”는 엇나갈 가능성이 높다. ▶ 필자소개 : 지뇽뇽 ◀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
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
2015.12.08
보탬이 된다는 이야기 정도이니까. ▶ 필자소개 : 지뇽뇽 ◀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
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
KISTI
l
2015.11.14
원자력 발전의 국내 활성화에도 큰 족적을 남겼다. 1961년 영국 노팅엄 대학에서 박사
학위
를 취득한 그는 전기제어공학이론을 원자력발전 안정성에 응용한 연구로 원자력 발전에 큰 도움을 줬다. 한만춘 박사는 산학협력의 기틀을 닦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국무총리실 평가교수,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1.12
수도 있었고 과학자에 대한 대우도 좋은 편이라 만족스럽게 생활한 편이었습니다. 박사
학위
가 있었기에 고급인력 유치라는 차원에서 영주권도 얻기 쉬웠어요. 자체 위성이 없기는 했지만 미국의 위성으로부터 자료도 쉽게 받을 수 있었으니 연구활동에 지장이 있는 것도 아니었지요 . 그러다 귀국한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