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LED로 빛 만들고 합치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400nm~600nm에 해당하고, 백열등은 600nm이상인 빨간색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광합성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빨간색 LED는 엽록소a, 파란색 LED는 엽록소b의 흡수 파장과 일치한다. 즉, 빨간색과 파란색의 두 LED를 적절히 조합해 이용하면 식물의 재배에 효과적이다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않아 정보가 불분명해지는 상황이 왔다.새로운 컴퓨터의 능력을 테스트하는 문제로 ‘
큰
수의 소인수분해’가 있다. 디지털컴퓨터로는 이 문제를 풀 때 숫자가 커질수록 계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릿수에 따라 계산시간이 거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문제는 암호통신을 ... ...
금속 몰아내는 고성능 플라스틱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듀레탄연구개발 책임자인 데트레프 요아히미 박사는 “지금도 움직이는 부품이 있지만
큰
하중을 견디는 부분은 아니다”라며 “가능하지만 현재로서는 가격이 너무 비싸질 것”이라고 대답했다. “정말 고온에서 작동해야 하는 부품은 금속이 계속 담당할 가능성이 높다”고도 덧붙였다.그러나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활하는 안전한 피신처이므로 항상 애벌레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네발나비와
큰
멋쟁이나비 애벌레의 집은 엉성하지만 몸의 크기에 맞춰 집도 개조하고 넉넉하게 이용한다. 먹고 자다가 배설물로 가득찬 집이 더 이상 집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다른 잎으로 옮겨서 새로운 집을 만든다. 아예 잎을 ... ...
“내신성적 반영, 전교과로 확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1단계 서류전형에서 합격자의 내신성적은 어느 정도 선이었나?내신합격선을 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1단계에서 내신만 보는 것이 아니라 자기주도학습평가도 합산해서 보기 때문이다. 내신은 조금 떨어지지만 학습계획서를 잘 쓴 학생은 서류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마니아적인 특성이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생각합니다. 그런 성취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순간 학생들은 진화해 자신감을 갖고 더
큰
목표에 도전합니다. 여러분도 도전한다면 성취감을 맛볼 것 입니다 ... ...
두 배나 먹고 있다? 두 배나 먹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라면국물처럼 짠 음식에만 나트륨이 들어 있다고 생각하죠? 하지만 이런 생각은
큰
오해예요. 사과나 우유식빵 같은 짜지 않은 식품에도 작은 양이지만 나트륨은 들어 있답니다.나트륨은 우리 몸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영양소예요. 일상적인 식생활을 하는 건강한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숨는다. 5월 초~6월 중순에 알을 낳아 돌 밑에 알을 붙인다.칼납자루몸이 녹갈색을 띄며
큰
눈을 가졌다. 물풀이 많은 하천 하류나 얕은 시냇가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산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 주둥이에 하얀 돌기인 ‘추성’이 생겨 암컷을 유인한다. 알은 민물조개 안에 낳는다.우리나라 민물고기,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아니다. 포물선의 아름다운 곡선은 비단 영화나 게임속에만 등장하지 않는다. 일례로
큰
공원에 세워진 분수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다. 분수의 급수라인에 연결된 노즐을 통해 물이 뿜어지는데, 노즐의 지름에 따라 압력이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 ...
진실 둘! 1등이 10명씩 10번 나와도 이상한 일 아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아니더라도 5000만 번에 가까운 수가 나오게 됩니다. 이 법칙은 베르누이가 발견한 ‘
큰
수의 법칙’ 입니다. 저는 베르누이 이론을 확장해 통계에서 가장 위대한 정리인 ‘중심극한정리’ 를 완성했습니다. 중심극한정리는 동전던지기와 같은 시행을 무수히 많이 반복하면 확률 분포가 가장 ... ...
이전
618
619
620
621
622
623
624
625
6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