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효과
결과
영향력
여파
작용
효능
효험
d라이브러리
"
영향
"(으)로 총 7,582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중산층, 다수의 우뇌형 하층으로 구성된 장구형으로 됐다. 이것은 일제 식민지정책의
영향
과 이를 가속화시킨 촉매로 작용한 경제성장에도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경제성장에 따른 다양한 물질문명의 혜택은 우뇌의 감성을 강화시켜 주기 때문이다.결국 한국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푸는 일은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말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부근에 있는 별빛이 지평선 가까이 있는 별빛보다 시상의
영향
을 덜받게 된다(시상에 대한 자세한 것은 과학동아 93년 7월호에 있음). 하늘에서 보여지는많은 색, 예를 들면 무지개에서 보여지는 여러가지 색들은 빛의 굴절에 의해 나타난다.푸른색은 붉은색보다 파장이 ... ...
근시 영구 교정 투명 고리 개발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근시나 원시는 물체 인식의 문제뿐만 아니라 얼굴의 모양에도
영향
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사람들은 시력 교정을 위해 안경을 쓰거나 콘택트 렌즈을 사용하지만, 이들 장치는 벗거나 빼내면 아무런 효과가 없어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그런데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즉 특정문화의 산물로 간주하는 이유는 컴퓨터가 인류의 발명품이며, 그 기술의 사회적
영향
이 사용자의 선택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컴퓨터에는 설계자와 사용자의 문화가 함께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컴퓨터 문화는 그 뿌리를 군사문화에 두고 있다. 오늘날의 컴퓨터는 ... ...
3. 살 길 찾아 아시아·유럽으로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살던 고인류의 이주를 유발시키게 됐다.아마도 호모 에렉투스는 이러한 환경변동의
영향
으로 사하라의 북서쪽 이집트지역을 경유 중동지방으로 튕겨져 나온 최초의 인류일 것이다. 실제 레바논의 우베이디아라는 유적은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약 1백만년에 가까운 연대를 보이고 있으며 ... ...
그린피스, 한반도 반핵 순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폭로해 국내에도 널리 알려진 그린피스는 현재 1백58개국에 4백만명의 회원을 가진 가장
영향
력있는 세계적 순수 환경단체.이 단체는 지난 71년 알래스카 암치카 핵실험을 반대하기 위해 12명의 활동가가 캐나다 밴쿠버에서 만들었던 '해일을 만들지 말라'는 작은 모임이 모태가 됐다. 그린피스란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광자과학은 21세기 정보화사회에 발맞추어 근간을 이루어 나갈 분야들 중에서 중대한
영향
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몇가지 분야에 대해서만 피상적으로 전망해본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가지 중요한 메시지를 덧붙인다면, 우리나라의 광자물리학 등 광자과학 기반이 미국 일본 유럽 러시아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내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말한다. 만에 하나 고래가 그 중 하나에 접근한다 해도 그
영향
은 사람에게 있어서 소리가 좀 큰 록 밴드를 듣는 것보다 해롭지는 않으며 단지 그들을 불편하게 하는 정도일 뿐이라는 주장이다.이 논쟁의 중재자는 국제해양어류서비스사인데, 1972년 해양 포유류 보호운동을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사건의 횟수만을 따진다. 각각 사건 사이의 시간간격은 확률치를 계산하는데 아무런
영향
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양자역학을 소개하는 책자에서 항상 나오는 질문, 즉 '한개의 전자가 과연 두 개의 다른 격자로 동시에 통과하느냐'는 질문은 전자의 물리상태가 확률함수로 기술되는 한 무의미한 ... ...
참나무의 매력에 빠져 속리산을 오르며…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고려조 후기부터 몽골의 압력으로 소나무를 많이 심었다. 그것이 오늘날까지 계속
영향
을 미쳐 소나무는 어디를 가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가 됐다. 필자는 소나무와 참나무의 생태를 연구하면서 참나무가 우리의 풍토에서는 우세한 숲을 이루는 수종임을 알았다.이 사진은 참나무 숲을 찾아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