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화석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길이가 1백24cm, 무게가 29.2kg 정도 됐으며 처음 3시간 동안은 살아있었다고 한다.에르드만
박사
는 실러캔스의 발견을 재차 확인한 후 9월 24일 언론에 알렸다. 영국의 주간과학지 네이처는 코모로 군도 아닌 곳에서 실러캔스가 발견됐다는 사실이 하도 신기하고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어 1998년 9월 24일자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라며 조심스럽게 미래를 예측한다.현재 실험실에는
박사
과정 6명, 석사과정 6명, 그리고
박사
후 과정 1명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이들의 연구는 풀러렌에만 한정돼 있지 않다. 반도체 기판을 덮는 고효율의 박막을 제조하는 한편, 화학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시키는 새로운 촉매 개발에도 ... ...
② 잠 때문에 괴로운 사람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그 계기는 자신의 코골이 때문에 부인으로부터 이혼을 당한 일이었다. 불웨어
박사
는 역대 미국 대통령 32명(1대-32대) 가운데 심하게 코를 곤 사람이 20명이라는 재미있는 통계를 내기도 했다. 코고는 소리가 가장 요란했던 사람은 시어도 루즈벨트(26대) 대통령이었다. 한번은 그가 병원에 입원했을 ... ...
미국, 이론 물리학의 중심이 되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다녀와야 할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했다. MIT 출신인 파인만은 1942년 프린스턴 대학 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전쟁 연구가 끝난 뒤 바로 코넬 대학의 교수가 됐다. 일찍부터 두각을 드러낸 슈윙거 역시 21세에 컬럼비아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뒤 곧바로 오펜하이머 밑에서 연구했 으며, 1945년부터는 ... ...
영재교육 뿌리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특정 산출물을 예상해 훈련하고 준비하며 테스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조석희
박사
는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지식과 기능 뿐만 아니라 특 정 영역의 지식과 기능이 적극적인 동기와 어우러져 비판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과정을 거쳐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냉동인간이 공상과학이 아닌 현실이 돼 있다. 이미 1967년 심리학자 베드포드(당 시 75세)
박사
가 사망 직전 냉동상태에 돌입함으로써 냉동인간 1호를 기록했다. 그는 체내의 피를 전부 빼내고 대신 동결보호제를 체내에 주입해 액체질소로 영하 196℃를 유지하는 금속 탱크에 넣어졌다. 그 후 많은 ... ...
한국 최초 소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관심을 키우는데 힘을 모아야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천문대의 김봉규
박사
는 "이제부터는 이번 관측으로 습득한 기술들을 공유하고 관측활동을 활성화시켜 지속적인 활동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그러나 한가지 안타까운 것은 소행성관측을 위해 갖추어야할 필수 장비인 ... ...
자석놀이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방향이 반대인 말굽자석을 번갈아 배치하면 파도 타는 포일을 연출할 수 있다.신과람
박사
의 실험파일1. 알루미늄 포일을 자를 때 칼보다는 가위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2. 포일의 움직임은 포일의 폭이 좁을수록 분명하게 나타난다.3. 꼬마전구는 전류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회로에 ... ...
지구에 사는 세균은 몇마리?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미국 조지아대학 미생물학과 윌리엄 휘트먼
박사
팀은 세계 최초로 지구에 존재하는 세균의 숫자를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 수는 무려 5×${10}^{30}$마리. 이들을 1센트짜리 동전이라 가정하고 일렬로 쌓을 경우 빛의 속도로 끝까지 가는데 1조년이 걸리는 값이다.일반적으로 ... ...
2. 과학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수상자는 노벨상 전분야를 통틀어 아직 한명도 없다. 생리의학분야의 김성호, 이서구
박사
등 많은 한국인 학자들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지만 언제 노벨상의 영광을 얻게 될지 알 수 없다.그런데 출생지로만 따지면 한국도 한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이미 배출했다. 분자화학 분야에의 공헌으로 198 ... ...
이전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