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너무 부드럽거나 장애물이 많거나 경사가 급한 지형을 만나면 바퀴는 잠그고 다리를
이용
해 걷는 식이다. 어떤 지형이든 이동하는 데는 ‘선수’인 셈이다. ATHLETE는 딱딱한 땅에서 35°의 경사를, 먼지가 쌓인 부드러운 땅에서 25°의 경사를 오를 수 있으며, 기존 로버보다 훨씬 빠른 시속 10km의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같은 느낌이 든다. 실제 도심 말벌은 전봇대에 붙은 전단지 같은 종이를 갉아 건축재료로
이용
한다. 무리가 겨울을 나는 꿀벌과는 달리 말벌은 가을이 깊어지면 모두 뿔뿔이 흩어지고 빈 집만 남는다. 그렇다면 말벌은 어떻게 생존을 이어갈까. 최 박사는 “애벌레 가운데 여왕벌로 태어난 개체와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는지 알기 어렵다. 그래서 과거에는 경선과 일정한 각을 유지하면서 움직이는 항로를
이용
했다. 이 항로를 항정선이라고 한다. 항정선은 두 지점 사이의 최단 거리는 아니었지만, 조금 돌아가더라도 일정한 방향만 유지하면 돼 편리했다. 항정선을 지도에 직선으로 그리는 게 바로 메르카토르의 ... ...
빛으로 터지는 폭탄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토머스 영의 이중슬릿…”중첩상태를 깨뜨리려면그 남자는 해킹한 다른 위성을
이용
해 현재 낮인 곳의 햇빛을 끌어왔다. 빛의 파장을 폭탄을 터뜨릴 수 있도록 변조하고, 마지막으로 위성의 태양전지판에 낸 이중슬릿을 통과시켜 도시 위로 간섭무늬를 비추려 하고 있었다. 그리하면 무작위로 ... ...
“산업계의 주춧돌=정밀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게다가 직접 가공기계를 꾸미거나 공작기계(일반기계 및 설비를 가공하는 기계)를
이용
해 다양한 실험을 해서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해법에 접근하는 문제해결 방식은 몸으로 체험하고 확인하는 것을 즐기는 필자의 성격과 잘 부합했다.실험실에서는 공작기계 이상진단과 미세가공 분야를 주로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래서 아예 1학년 2학기부터 프로젝트를 주고 여러 전공학생들이 모여서 각자의 전공을
이용
해 문제를 해결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같은 것들이죠. 재료공학, 역학 등 수업을 들으면서도 이것을 전기자동차에 어떻게 적용할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세균을 죽임으로써 수인성 질병을 예방한다. 난방에
이용
할 수도 있다.② 압전소자를
이용
한 전기발생기: 압전소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탄성력에 의한 위치에너지로 바꾸고, 이 위치에너지가 전환되면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다.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길에 압전소자를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일들을 해야 한다”며 “먹이와 물이 있는 장소를 기억해야 하고 새끼를 위해 이를
이용
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인지능력이 향상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출산과 육아 경험이 뇌 구조를 바꾸는 현상은 사람에서도 일어난다. 김필영 미국 예일대 의대 박사팀은 지난 2010년 학술지 ‘행동신경과학’에 ... ...
PART 3. 전기차보다 하이브리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아트킨슨 사이클로 움직이는 내연기관을
이용
하고 다른 영역에서는 전기모터를
이용
하도록 설계됐다. 도요타는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한 독특한 동력전달계를 개발해 앞으로 전 차종에 도요타만의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내 생에 첫 차는 누구?전기차만 놓고 봤을 때 결론은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2008~2009년 사이에 발굴한 턱 화석 세 개의 크기와 형태를 조사해 3차원 그래픽 기술을
이용
해 복원했다. 첫 번째 화석인약 195만 년 전 지층에서 발굴한 어린이 호모 화석은 ER 1470과 구조가 비슷하고 크기가 작았다. 각각 180만 년 전과 195만 년 전에 발굴한 또다른 화석둘은 턱 구조가 특히 잘 보존돼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