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구멍이 여러 개 발견된 적은 있으나 모듈에서 우주물체 때문에 생긴 구멍이 확인된 것은
처음
이었다. 모듈 자체를 관통한 것은 아니라 안전엔 문제가 없었지만 우주물체가 큰 위험요소임을 보여준 사건이었다.또한 420톤에 이르는 ISS의 운영이 끝난 뒤 폐기처분도 큰 문제다. ISS의 궤도는 ... ...
망태버섯의 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과정은 대부분 오전 6시에 시작해 오전 10시쯤 끝난다. 흥미롭게도 갓이나 대 같은 기관은
처음
달걀모양일 때 이미 갖춰져 있고 망태버섯이 나타나는 과정은 이들 기관이 단순히 급속 팽창하는 과정일 뿐이다. 마치 소방호스가 잘 포개져 있다가 물을 채우면 펼쳐지는 과정과 비슷하다.찻잔버섯류는 ... ...
PART1 영원한 적도 동지도 없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런데 울타리에 막혀 대형초식동물이 접근하지 못하는 ‘영구평화’가 찾아들었다.
처음
에는 아카시아도 무성해지고 미모시도 한가로웠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자 변화가 찾아왔다. 더 이상 잎이 뜯길 일이 없어졌다는 걸 알게 된 아카시아가 ‘약삭빠른 짓’을 하기 시작한 것. 줄기에 난 가시의 ... ...
“찰칵!”메신저가 보내온 수성 사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보내 왔습니다.메신저는 지난 1월 중순, 수성에 근접비행을 하며 사진을 찍었어요.
처음
으로 공개된 수성의 표면에선 크고 작은 여러 개의 분화구들을 볼 수 있는데, 큰 분화구는 지름이 274m나 된다고 해요. 이 사진들은 400만 년 넘는 시간 동안 수성의 표면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연구하는 데 많은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한국산개구리는 우리나라에서만 서식하는 고유종이다. 특히 아시아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으로 세상에 알려진 미주도롱뇽과(Plethodontidae)에 속하는 ‘이끼도롱뇽’(Karsenia koreana)은 전 세계적으로 양서류 학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던 종으로, 2005년 5월5일자 ‘네이처’에 그 이름이 등재됐다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최초의 여성 교수가 됐다. 레플러 교수가 소냐를 스톡홀름대 교수로 적극 추천했지만
처음
에는 거센 반대에 부딪쳤다. 소냐는 한 학기 동안 강의를 잘하는 걸 확인받고서야 정식 교수로 임용됐다. 그 뒤 훌륭한 논문을 써 파리아카데미가 주관하는 유명한 보르댕상을 받았다. 그가 숱한 역경을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점에서 인체통신기술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12:00 악수와 터치로 이뤄지는 계약“
처음
뵙겠습니다. 김철수입니다.”바이어와 함께 하기로 한 점심 약속. 악수를 하자 그의 전자명함이 내 PDA로 전송됐다. 맛있게 점심식사를 한 뒤 본격적으로 사업 얘기를 시작했다. 프린터에 손을 대자 PDA에 담아온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스스로 만족할만한 답을 얻기 전에는 맘 편히 잠을 잘 수 없었다. 셀룰로오스의 구조가
처음
으로 밝혀진 때가 1980년대였으니 당시에는 셀룰로오스 전문가라도 모르는 내용이 많았다. 기계공학을 전공한 그는 생물 서적과 화학 논문을 뒤지며 셀룰로오스의 구조부터 반응, 추출과 제조 방법까지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다이나모가 내재한다고 생각하는 이론 1920년 J 라모가 태양자기장을 설명하기 위해
처음
제창했는데, 그후 여러 학자에 의한 보충 연구로 지구자기장의 생성과 특징적 사실들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가동(可動)코일 마이크로폰 진동판이 영구자석에 의한 고정자기장 내에 설치된 음성코일(voice coil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2000년부터 재활용의 세계적 트렌드를 선도하기 위해 박차를 가해왔다.
처음
3년간은 재활용 기술을 개발했고 2003~2006년에는 이 기술을 적용한 연구플랜트를 지어 실용성을 꼼꼼히 검토했다. 오는 2010년까지는 이제껏 거둔 성과들을 산업현장에 하나둘씩 적용하는 작업을 해나갈 계획이다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