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77건 검색되었습니다.
[丙申年 기획] 인류에게 도움 준 붉은털원숭이
2016.01.03
하더라도 사람과 원숭이는 95%가 같지만 쥐는 80% 정도만을 공유한다. 허재원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이런 유사성 때문에 미국에서는 신약을 내놓을 때 원숭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영장류 실험을 권고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쥐나 개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 ...
붉은원숭이가 사는 그곳, 국가영장류센터에 가다
2016.01.03
원숭이를 수출하는 국가에서 영장류를 자원으로 여기며 ‘무기’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생명
공학연구원은 연구에 필요한 원숭이를 더욱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북 정읍시에 영장류를 번식시키고 사육해 국내에 공급하는 ‘국가영장류자원센터’를 건립 중이다. 이 센터는 2017년 문을 열 ... ...
[과학입국(科學立國) 50년] 과학자 집안에 듣는 국내 근대과학 변천사
2016.01.02
분야에서는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 등 정부 출연연구기관이 줄지어 탄생했다. 대를 이어
생명
과학자가 된 조진원 연세대 언더우드특훈교수(시스템생물학과 교수·58)는 “2000년대 초만 해도 전자현미경과 공초점현미경, 세포 분류 장치 등 실험 장비를 의대 건물에 가서 써야 했지만 최근에는 ... ...
마이크로RNA 생성 열쇠의 3차원 구조, 드디어 밝혔다
2016.01.01
제시했다. 김 단장은 “연속성 있는 연구가 가능한 환경에서 이뤄낸 쾌거”라며 “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마이크로RNA를 이용한 신약개발 및 응용연구에 이론적 기반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 ...
대규모 연구과제 봇물…각 기관 ‘환골탈태’ 천명
2015.12.31
37%로 설정한 만큼 이에 따른 전략수립과 연구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은 바이오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로 삼고 있는 정부 기조에 맞춰 내부 체계를 크게 바꿀 계획이다. 먼저 전문연구단 중심으로 조직체제를 개편한다. 기관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 ...
[과학동아 30주년 편집인 칼럼] 열두 개의 에베레스트산을 만들기까지
2015.12.30
즈음 드디어 확 달라진 과학동아 361호를 만났습니다. 기자로 직접 만들 때는 매달 한
생명
을 태어나게 하는 기분이더니 이번에는 아이 대학에 들여보낸 심정입니다. 그러고 보니 서른을 이립(而立)으로 부르니 이제야 기초를 닦았다는 말이 실감납니다. 그러면서 ‘지난 30년 간 과학동아는 ... ...
호랑이 줄무늬, 얼룩말 무늬…동물 무늬 수학으로 나타낼 수 있나
2015.12.28
모형을 개발했다고 ‘셀’의 자매지 ‘셀 시스템스(Cell Systems)’ 23일 자에 발표했다.
생명
체가 만드는 패턴을 수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은 1952년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이 발표한 ‘반응-확산 모형’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튜링은 ‘형태소’라는 세포 속 생물학적 요소가 수학적 규칙에 ... ...
생보재단 지원신청 희귀난치성질환자 27%가 ‘나홀로 투병’
동아일보
l
2015.12.28
대체로 정상적인 일자리를 찾기 어렵다. 이 때문에 소득이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다.
생명
보험사회공헌재단에서 의료비를 지원한 희귀난치성질환자들의 소득을 분석해보면 100만 원 이하로 버는 사람은 33.6%이고, 소득이 전혀 없는 사람도 12.7%나 된다. 소득이 300만 원을 초과하는 질환자는 9.1%에 ... ...
야생마 화려한 무늬에 숨은 ‘출생의 비밀’ 풀었다
2015.12.27
밝혀졌다. 라이프 안데르손 스웨덴 웁살라대 교수팀은 그렉 바쉬 미국 허드슨 알파
생명
공학연구소 팀과 공동으로 무늬를 가진 야생마와 사육된 말의 유전자를 분석하는 데 성공하고 갈기털의 색깔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밝혀냈다. 이 연구성과는 과학저널 ‘네이처 지네틱스(Nature Genetics)’ 21일 ... ...
암 진행과 전이 여부, 30분 안에 동시 진단 가능해졌다
2015.12.27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엄숭호 성균관대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최정우 서강대 화공
생명
공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과정에 대한 정보를 30분 안에 진단할 수 있는 DNA 나노구조체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지금까지 암을 진단할 때는 암세포에서 나오는 ... ...
이전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