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연 실험장이다. 세계 각국에서 너나할 것 없이 엄청난 시
간
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지구상에 유일하게 과학적인 투자가 이뤄져야 기득권을 얻을 수 있는 극지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해 연구했다는 자부심은 영원히 필자의 가슴에 남아 있을 것이다. 70일 동안 훌륭한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2천3백만년 전 일본이 한국으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현재 한국과 일본의
간
격은 점차 좁혀지고 있으며, 이 경향은 1천만년 후까지 계속될 것이다. 이때 동해안 일대의 지형이 불안정 ... 결국 2천3백만년 전 일본은 더이상 유라시아판에 붙어있지 못하고 태평양쪽으로 떨어져나
간
것이다 ... ...
음악파일의 혁명 MP3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실행하면 트랙들이 보여진다. 그 중 원하는 트랙을 선택하고 추출 버튼을 누르면
간
단히 MP3 파일이 만들어진다. 만들어진 파일을 CD 레코더를 이용해 CD에 저장하면 한장당 약 1백곡의 음악을 수록할 수 있다.반대로 MP3 파일을 CD 플레이어로 듣는 방법도 있다. MP3 파일은 원래의 오디오파일을 압축한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어떠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컴퓨터를 비롯해 현대문명이 낳은 각종 산물이 인
간
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준 것은 물론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우리의 얼굴 표정을 멍청하게 만들 가능성도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두말할 필요없이 사막지역에서 물은 생명수다. 12개의 커다란 물통을 싣고 차로 6시
간
이상 걸리는 인근 유목민 마을에서 물을 길어왔는데, 그나마 휴대용 정수기로 걸러 꼭 필요할 때만 먹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샤워는 생각할 수도 없었다. 음식은 유목민들에게서 구한 염소와 양을 잡아 아무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속에서 토성을 관찰할 수 있고 목성도 10월 중순까지 양자리에 머물다 물고기자리로 옮겨
간
다. 알파별 하말(Hamal)은 ‘새끼 양’을 뜻하는데, 2.0등급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78광년 떨어져 있다. 2천4백년 전에는 춘분점이 이 별 아래에 있었다. 감마별은 1664년 로버트 후크가 혜성을 관찰하다 우연히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8천m 이상의 고봉에서는 산소가 평지의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 한발짝을 옮겨놓기가 무섭게 숨이 차고 심장이 터질 듯하다. 그런데도 8천m급 ... 영역입니다. 숨한번 쉴 때마다 삶과 죽음이 왔다갔다 합니다. 신의 영역에 접어들기 전 인
간
은 겸허한 마음으로 차근차근 준비를 할 뿐입니다.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①태풍 발생수가 가장 적었다. 1-8월까지의 발생수는 4개로 같은 기
간
평년의 발생수 14.6개보다 훨씬 적었다.②제1호 태풍이 관측사상 가장 늦게 발생했다. 1998년 제1호 태풍 발생은 7월 9일 15시로, 1951년 태풍관측을 시작한 후 가장 늦게 발생했다(표).③태풍 발생 장소는 동경 ... ...
③ 동물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이식해도 치명적인 바이러스(Perv)에 감염될 가능성이 없다고 보도했다. 이뮤트란사가 12년
간
돼지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받은 1백60명을 조사한 결과였다. 그러나 또다른 병원체로부터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흔히 언론이나 방송에서 ‘사람 심장 달린 돼지’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 ...
⑤ 복제기술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화상을 입었을 때 상처를 아물게 하는 단백질 (혈청알부민) 유전자를 지니고, 인
간
에게 면역반응을 일으킬만한 유전자의 기능이 정지된 양이다.연구팀이 사용한 세포는 태아로부터 얻은 섬유아세포이기 때문에 아직 완전한 성체의 체세포 수준에서 실험이 성공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 양이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