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중 엔지엘과 네트린지는 김 단장이 찾아내 2006년 9월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
했다. 김 단장은 “연구단은 최근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3번째 쌍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그보다 앞 선 2006년 4월 연구단은 생쥐의 뇌에서 살름(SALM)이라는 단백질이 시냅스를 형성한 뒤 ... ...
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특히 허블은 1929년 1월 ‘허블 법칙’을 담은 논문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
하면서 당시 할리우드 스타들보다 더 유명해졌다. 허블 법칙은 다름 아니라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뜻하기 때문이다. 허블이 발견한 우주 팽창은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제작해 천체를 관측한 이래 인류가 이룬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걸 확인하자, 비로소 금성이 달처럼 차고 이지러진다는 사실을 관측했다고 자신 있게
발표
할 수 있었다.태양 흑점은 케플러가 1607년 우연히 발견했지만 그는 흑점을 수성이라고 착각했다. 이 덕분에 갈릴레이는 태양 흑점 발견자라는 영예를 누렸다. 그는 1612년~1613년에 망원경으로 태양 흑점을 ... ...
[고생물학]거북, 등딱지보다 배딱지가 먼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중국과학원 척추고생물학 및 고인류학 연구소 춘 리 연구팀이 ‘네이처’ 11월 27일자에
발표
한 논문에 따르면 중국 남서부 구이저우성에서 발견한 2억 2000만 년 전의 거북 화석을 분석한 결과 껍데기가 몸의 절반만 덮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가장 오래된 거북 화석이다.‘이빨이 있고 딱지는 ... ...
[의학] 다크 초콜릿은 몸에 좋은 쓴 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먹으면 심혈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고 미국 영양학회 저널인 ‘저널 오브 뉴트리션’에
발표
했다.연구팀이 35세 이상의 건강한 사람 2000명을 상대로 실험한 결과, 다크 초콜릿을 정기적으로 먹는 824명은 그렇지 않은 1317명에 비해 ‘C 반응성 단백질’이 17%나 감소했다. C 반응성 단백질은 ... ...
한국인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3년에 걸쳐 1000명의 게놈 지도를 해독하겠다는 ‘1000 게놈 프로젝트’를 2007년 말
발표
했고, ‘개인 유전체학의 창시자’로 불리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팀은 비슷한 시기 포털사이트 구글의 지원을 받아 ‘개인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해 10만 명의 게놈 해독에 착수했다.영국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돼 맹렬하게 활동했다. ‘종의 기원’이 출판된 다음해인 1860년 영국과학진흥회의 연례
발표
는 옥스퍼드에서 있었다. 그 자리에서 헉슬리는 “당신의 아버지와 어머니 어느 쪽이 원숭이를 조상으로 했는가?”라는 윌버포스 주교의 농담에 “자신이 알지 못하는 논의를 하기 위해 지적능력을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응용물리학과 로세데틀레트 교수팀은 딱총새우 소리의 메커니즘을 밝혀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딱총새우는 먹이 사냥을 할 때 집게를 벌렸다가 순간적으로 닫으면서 집게사이에서 지름이 3.5mm 안팎의 작은 공기방울을 강하게 분사한다. 이때 공기방울은 시속 100km로 정도로 튀어나가며 ‘딱’ ... ...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킹 박사가 칵테일파티효과에 대한 흥미로운 실험을 해 ‘신경과학 저널’ 2008년 11월호에
발표
했다. 킹 박사는 다 자란 족제비의 귀 입구 부근에 작은 마이크를 달아 귀로 들어오는 소리를 녹음한 뒤 새끼 족제비에게 들려줬다. 그리고 각 족제비의 뇌에서 청각을 담당하는 부위에 일어나는 변화를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치워 산란장 일대는 한바탕 난장판이 벌어진다.‘금태’가 된 사연2006년 해양수산부에서
발표
한 자료에 따르면 식탁에 가장 많이 오르는 수산물로 명태가 선정됐다. 오징어나 고등어, 갈치, 조기를 큰 차이로 제치고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식탁뿐만이 아니다. 명태는 예로부터 관혼상제에 없어서는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