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d라이브러리
"
확인
"(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생명을 구하는 억대 인형 더미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부품을 모두 분해해 일일이 정상적인지
확인
하는 것이다. 센서 역시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하기 위해 수많은 실험이 이뤄진다. 잘못된 부품은 곧바로 새 부품으로 교체한다. 충돌시험에는 고가인 자동차를 사용하기 때문에 꼼꼼히 준비하는 것이다.모든 사항이 준비되면 더미가 자동차에 ... ...
유리잔 속 빛의 길과 물의 진동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진동한다. 물의 진동은 유리잔의 테두리를 문지를 때 물의 표면에 물결이 생기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 진동은 다시 공기에 전달된다. 공기가 진동하면 소리가 발생하게 되므로 바이올린 음과 같은 소리가 나게 되는 것이다. 유리잔에 담겨 있는 물의 양이 달라지면 소리의 높낮이가 달라진다. ... ...
데이터 저장의 새로운 매체, 박테리아 게놈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앞으로는 CD나 반도체 메모리가 아니라 박테리아 게놈에 데이터를 저장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미 국립 북서태평양 연구소의 왕백충 박사는 지난 1월 3일 ‘뉴 ... 1백세대를 지나도 삽입된 정보는 다음 세대로 전달돼 박테리아의 게놈 속에 안전하게 저장됨을
확인
했다”고 밝혔다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된 이후 1950년대에 실시된 초고층대기 핵실험 중에 우연히
확인
됐다. 당시 하와이의 가로등이 갑자기 소등된 사고가 발생했는데, 그 원인이 핵폭발 중 방사된 강력한 전자기파 펄스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던 것이다. 이때부터 전자기파 펄스 무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다. ... ...
3 월석에 간직된 잔류자기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루나 프로스펙터가 보내온 자료는 달 표면의 충돌 구조물 일부의 반대편에서 자기장이
확인
된 것이 증거”라고 밝혔다.그러나 주버 교수는 스테그만 교수의 연구가 달 형성 초기에 다이나모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되지는 못하지만 달 표면의 잔류 자기 형성과 용암 분출 시기가 같은 사실을 ... ...
② 복제는 불임의 유일한 대안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전까지 유전적 질환을 앓고 있는 부부는 임신 중 양수 검사를 통해서만 질병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만약 질환을 물려받았다고 판명되면 생명을 앗는 임신중절수술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었다.하지만 착상전 유전자 진단법은 정자와 난자를 채취해 체외수정으로 일단 수정란을 만든다. 그리고 ... ...
'사이언스' 선정 2002년 최고 과학 이슈는 소형 RNA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주목받았다.천문학도 화려했다. 그동안 미스터리한 존재로 알려졌던 뉴트리노의 질량이
확인
됐으며, 대기 중의 미립자들의 방해를 보정해 좀더 선명한 천문 현상을 관측 가능케한 ‘적응 광학’(AO, Adaptive Optics)이 선정됐다. AO는 초당 수백회씩 회전하는 얇은 거울을 이용, 대기의 ‘방해’를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주장하고 있는데 대해 황우석 교수는“복제된 개체의 정상여부는태어난 이후에나
확인
할 수 있다”면서 기형을 갖고 있을 것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그는“태어난 개체가 만약 정상이라 해도 그동안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을 것”이라 말했다. 언론에 밝히지 않은 실패된 복제아가 존재할 가능성이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후 1661년 이탈리아 생리학자 말피기에 의해 동맥과 정맥을 잇는 모세혈관의 존재가
확인
됨으로써 완전히 증명돼 진리로 받아들여졌다.뱀독은 새로운 치료물질을 제공하기도 했다. 한 예로 2002년 11월 연세대 의과학과 정광회 교수는 까치살무사의 뱀독에서 암 전이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 ...
달에서 갓 태어난 충돌구덩이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천문학자들은 수십년마다 달에 새로운 크레이터가 생긴다고 믿고 있지만, 이렇게 직접
확인
된 적은 없었다.1953년 달에서 섬광이 반짝이던 순간, 미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레온 스튜어트가 사진을 찍었다. 사진에 찍힌 섬광으로 볼 때 달 표면에 충돌한 물체는 약 3백m 크기의 소행성으로 추정됐다.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