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1. 시간과의 끝없는 전쟁 기상예측
과학동아
l
200009
50분. 먼저 계산된 전지구적인 거대 기류의 변화 정보가 나온다. 멀리 북태평양 고기압의
남쪽
가장자리에서 서쪽으로 일본열도를 향해 다가오는 제8호 태풍 젤라왓의 향후 일주일간의 이동 경로가 모니터에 동화상으로 나타났다. 예보관들은 슈퍼컴퓨터로부터 데이터가 나옴과 동시에 분석에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08
클 뿐만 아니라 가운데 12등성이 있어 인상적으로 보이는 성운이다.라군성운으로부터 4°
남쪽
에서는 산개성단 NGC6520 바로 옆에 있는 B86도 찾아볼 만하다. 이곳은 은하수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영역으로 희미한 별들이 바닷가의 모래알처럼 가득 펼쳐져 있다. 이 가운데 5′(1′=60분의 1°) 크기의 B8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08
각거리를 잴 수 있으면 서쪽 지평선 위에 떠있는 별이 대략 몇시간 후에 지는지,
남쪽
하늘에 있는 어떤 별이 2시간 후에는 어디로 움직여갈지 미리 알 수 있다.예를 들어 금성이 서쪽지평선 위로 비스듬히 한뼘 정도올라와 있다면 각거리로 20˚이므로 약 1시간 20분 후에 질것이라고 짐작할 수 있다.또 ... ...
7월 16일 밤 10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007
긴 지속 시간이다. 22시 55분에 달이 그림자의 중심에 가장 가깝게 들어간다. 이때 달은
남쪽
하늘 궁수자리와 염소자리 사이에 있는데, 시골에서는 개기식 중에 달의 서쪽에서 희미한 은하수의 모습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주변에 밝은 별은 없고, 소행성 4번 베스타(5.4등급)가 비교적 가까운 위치인 1.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07
것 같은데, 꼭 정각리 마을 쪽으로 길을 낸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이유는 바로 그쪽이
남쪽
이기 때문이다. 눈이 내린 날 밤에는 오히려 날씨가 맑아 관측하기에 좋다. 그런데 길에 눈이 쌓여 있으면 천문대에 올라올 수가 없다. 천문대 오르는 길은 남향이어야 눈이 빨리 녹아 천문대에 오를 수 있는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07
이 방송은 국내뿐만 아니라 CNN, NHK 등 외국 언론을 통해서도 전세계에 방영됐다.
남쪽
에서 가지고 간 SNG(이동 생중계 송출장비)와 무궁화 위성, 그리고 북측의 중계차 시설 등이 동원된 이 방송은 별다른 문제 없이 매우 순조롭게 진행됐다. 하지만 이 과정이 있기까지 남과 북은 서로간의 차이로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7
사실. 북반구와는 달리 그림자가
남쪽
에 생긴다. 물론 반대편이 북쪽이다. 그리고
남쪽
을 바라보고 잇을 때 오른쪽이 서쪽이고 왼쪽이 동쪽이다.밤에는 어떨까. 북반구에서 북쪽을 가리키는 북극성과 같은 별을 찾아야 할텐데. 남반구 밤하늘의 나침반 역할은 남십자성이 대신한다. 남십자성을 ... ...
간의
과학동아
l
200006
중국과 우리나라에서는 적위를 적도면으로부터 위로 재지 않고 북극점으로부터 아래(
남쪽
)로 쟀다. 이를 ‘극점으로부터의 떨어진 각거리’란 뜻으로 ‘거극도’라고 한다. 물론 적위는 ‘90-거극도’와 같으므로 의미는 같다. 또한 적경은 춘분점으로부터 재지 않고 적도면 주변에 있는 28개의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05
North)라고 불린다.1998년에는
남쪽
하늘에 대해 같은 방법으로 관측을 했는데, 그 지역은
남쪽
허블딥필드(Hubble Deep Field South)라고 불린다. 사진에서 보이는 영역은 하늘에서 매우 작은 지역으로서 한변이 각도로 2.5분이며, 이는 보름달 지름의 12분의 1에 불과하다.사진에는 놀랍게도 약 3천개나 되는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05
핵이 별처럼 밝아 보이고 은하의 동쪽 부분에 초신성 같은 13등급의 별도 볼 수 있다.좀더
남쪽
으로 내려가 감마별과 이타별의 삼각 꼭지점 근처에는 3C273로 알려진 가장 밝은 퀘이사를 볼 수 있다. 3C273은 1963년 처음으로 발견된 퀘이사로 태양계 정도의 크기에서 은하의 수백-수천배 에너지를 내뿜고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