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4,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
과학동아
l
201410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단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 8월 28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10
막아 비만 예방에 도움을 준다는 점은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기본상식이다. 밤새
에너지
를 소비하고 굶은 뇌에 포도당을 공급해서 머리를 맑게 한다는, 오전 수업에 도움되는 이유도 있다. 올해 1월 미국 아칸소주립대 테라 피빅 교수팀이 아침 식사를 할 경우 뇌를 조금만 써도 수학 문제를 쉽게 ... ...
[knowledge] 겨울 한파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410
존재하는 행성파(planatary wave)를 활성화 한다. 행성파는 중위도와 고위도 사이의
에너지
수송을 담당하는 파동으로, 파장이 지구 반지름에 필적하는 6000km에 달한다. 지상에서 활성화한 행성파가 성층권까지 올라가 극 소용돌이를 교란해 약화시키는 데는 약 1개월~1개월 반이 걸린다. 즉 카라,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10
유통시키려면 공조기를 이용해 능동적으로 공기를 교환해야 한다. 저층 건물에 비해
에너지
가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56층 건물인 상업은행 본점(259m)처럼 부분(60%) 자연환기 기능을 채택한 친환경 초고층건물이 있긴 하지만, 아직 주류는 아니다. 더구나 서유럽 등 친환경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10
속 광물이나 어업자원을 효과적으로 채집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파력이나 풍력 같은
에너지
도 연구합니다. 바다의 넓은 공간을 활용하는 방법도 배웁니다. 바다 위에 거대 구조물을 짓거나 수중 도시를 짓는 공간 활용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같이 환경에 위협이 되는 물질을 바다에 저장하는 것을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머지않은 미래에는 연처럼 하늘에 떠 있을 전망이에요. 미국
에너지
기업인 알테이로스
에너지
스 전문가들은 고도가 높을수록 바람이 더 강하게 분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하늘에 띄우는 풍력발전기 ‘배트(BAT)’를 개발했어요. 배트는 풍선처럼 생긴 몸통에 헬륨가스를 가득 채워 하늘에 띄운 다음,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09
아니고 동물들이 희열을 느끼는 거란다. 극심한 가뭄이 들면 과일박쥐고 원숭이고
에너지
를 아끼기 위해 움직임을 멈춰. 그러다가 폭우가 내리면 수많은 동물들이 일제히 과일나무로 몰리지. 서로 다른 종이 한 곳에 모인다는 건? 잇츠 파뤼 타임! 우리 같은 바이러스들에게 흔치 않은 축제의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09
다양한 시각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만큼 수업에 대한 인기도 뜨겁다. 처음 개설됐던 ‘
에너지
와 인간’ 과목은 3학기째 계속되고 있고, 뒤를 이어 ‘음식과 약’이 2학기째 진행됐다. 지난 학기에는 ‘인간과 우주’가 추가로 개설됐다. 기회가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원장인 이시형 박사는 “명상을 자주 했을 때 전두엽이 활성화되는 이유는 ‘긍정
에너지
’인 세로토닌이 나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세로토닌은 평상심을 유지하고 이성적 판단을 하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편안하고 행복한 감정을 느끼게 한다.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09
눈치를 봐야 한다.뜨거운 목성의 종말은 어떠할까? 중심별과의 조석작용에 의해 궤도
에너지
를 잃게 되면 안쪽으로 더욱 끌려들어가다가 마침내 중심별에 먹힌다. 이 때문에 행성을 이루는 물질의 응집력과 조석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인 ‘로시 한계’ 근처부터는 외계행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