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리
사이
틈
틈새
공간
이정
노정
d라이브러리
"
간격
"(으)로 총 1,45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달에 탐사선을 착륙시킬 예정이다. 외국의 경 우 보통 유·무인 우주탐사 계 획의 시행
간격
이 5년임을 고려 하면 2030년쯤이면 유인 우주 계획이 시행될 가능성이 높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공군, 이제 우주로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장 까다로운 문제는 휴보2와 KHR-2의 설계가 다르다는 점. 발의 모양도, 두 발 사이의
간격
도 모두 달랐다. 더구나 휴보2는 무게가 훨씬 가벼워 10kg 이상 차이가 났다. 오 교수는 “팔과 다리 모두 한결 경량화됐다”며 “KHR-2가 덩치 큰 승용차라면 휴보2는 날렵한 스포츠카에 비할 만하다”고 ... ...
살아 있는 입체 사진을 찍는다 파인픽스 리얼3D W1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서로 다른 위치에서 찍은 이미지 2개를 합성해 입체 사진을 만들 수도 있다. 일정
간격
의 시차를 두고 촬영한 사진도 순식간에 입체 사진이 된다. 초당 30프레임의 입체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물론 보통의 2차원 사진도 찍을 수 있다.최근 20, 30대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이카메라처럼 묘한 재미를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따라서 사각형의 두 변과 평행선이 만드는 삼각형은 모두 닮음이다. 평행선 사이의
간격
이 일정하므로 삼각형의 닮음비는 일정하다. 삼각형 ABC와 ADE의 닮음비는 1:2가 되기 때문에 선분 AB와 AD의 비도 1:2가 된다. 즉 선분 AB의 길이는 선분 BD의 길이와 같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계산하면 사각형의 변을 ... ...
지하철, 사람이 많다면 다음 열차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늘어나 결과적으로 최대 7분이 늦어진다는 사실을 알아 냈습니다. 지하철은 역
간격
이 짧아 속도를 빠르게 하더라도 전체 구간의 평균속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정차시간이 전체 이동시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사람이 많을 때는 무리해서 열차를 타는 것보다 다음 열차를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재고 있다. ▲ 눈 위에 찍힌 호랑이 발자국. 어른 손바닥을 벌린 정도의 크기로, 발자국
간격
은 약 80~90㎝이다.살아갈 터전이 필요해!그렇다면 호랑이가 살 수 있는 환경은 무엇일까? 야생동물 보존협 회에서는 호랑이 한 마리의 활동 영역이 다른 호랑이의 영역과 거의 겹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정확하게 답변하기란 그리 쉽지 않습니다. 사전에는 시간을 ‘시각과 시각 사이의
간격
또는 그 단위’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너무 추상적인 개념입니다. 시간은 분석방법에 따라 물리적 시간, 심리적 시간, 상대적 시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물리적 시간에서 1초는 ‘세슘 원자가 91억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있을 만큼 추운 시기를 말해요. 하지만 수천만 년에 이르는 빙하시대 동안에도 수만 년
간격
으로 기온이 오르락내리락하기 때문에, 빙하시대를 빙기와 간빙기로 나누어 부르고 있어요. 기온이 내려가는 빙기에는 빙하의 면적이 커지고 눈도 두껍게 쌓이지만 기온이 올라 간빙기가 되면 빙하가 ... ...
Part 3. 남녀 모두 수학이 맛있어지는 양념 공부법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운행 거리와 이용하는 사람의 수에 따라
간격
이 결정돼. 출퇴근 시간과 늦은 밤의 운행
간격
이 다른 것도 이 때문이야. 매일 보던 아파트의 높이를 한번 계산해 보는 건 어때. 자기의 키와 비교하면 한 층의 높이를 대략 알 수 있어. 그런 다음 아파트가 총 몇 층인지 세어 보는 거야. 그럼 아파트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기 때문이다. 최 팀장은 “펜대의 아랫부분을 보면 물고기 아가미처럼 일정한
간격
으로 판들이 막고 있다”며 “잉크통에서 잉크가 좀 새더라도 여기에 걸려 볼펜 밖으로 흘러나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잉크통과 펜 끝 사이는 지름이 불과 0.5mm인 얇은 관으로 연결돼 볼이 굴러 앞쪽의 잉크가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