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자
에너지
에네르기
d라이브러리
"
원자에너지
"(으)로 총 1,42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비행기 '제퍼'(Zephyr) 최장시간 비행기록 달성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태양전지 비행기가 자체 전원만으로 54시간 동안 비행해 최장시간 기록을 세웠다. 제퍼는 낮에는 태양광 에너지로, 밤에는 낮에 충전한 에너지로 비행했다. 제작자는 앞으로 제퍼의 비행기록을 3개월로 늘려 장기 감시 업무에 동원할 계획이다.인광석을 다른 원료와 함께 구워 원광의 플루오르아 ... ...
세상을 움직이는 숨은 힘을 만나 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이 소리는 어디서 들리는걸까요? 궁금하다면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만든 에너지체험관 ‘행복한i’로 가보세요. 행복한i는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다양한 에너지에 대해 배우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거든요. 즐거운 공놀이를 통해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를 배울 수 있고 원자핵 모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마스 피닉스 랜더’는 지금까지 어떤 행성에도 보낸 적이 없는 야심찬 장비를 싣고 있다. 이 장비로 화성 북극의 얼음이 섞인 토양에서 유기물을 찾아 화성에 생명체가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할 예정이다. 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의 자기공명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빠르고, 날카롭고, 분명하게! 우주에서 약한 전파가 마치 맥박처럼 1.34초에 한번씩 규칙적으로 오는 것이 아닌가. 지금으로부터 40년 전인 1967년 우주 전파신호가 영국 케임브리지대 앤터니 휴이시 교수의 지도를 받던 대학원생 조슬린 벨의 눈길을 끌었다.휴이시 교수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펄서는 별의 시체다. 임종을 앞둔 무거운 별은 강력한 초신성 폭발을 일으키면서 중심핵이 중성자별로 바뀐다. 빠르게 회전하며 규칙적인 신호를 내보내는 중성자별이 바로 펄서다. 펄서의 신호는 별이 죽어가며 자신을 사르는 최후의 불꽃이리라.놀랍게도 외계행성이 처음으로 발견된 곳이 바로 ... ...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새로운 연구결과에 따르면 20세기 대서양의 해수면온도 상승 때문에 열대성 저기압, 즉 허리케인이 급증했다. 지구의 기후변화가 허리케인 증가의 중요한 요인이라는 분석이다. 겨울철 남쪽 하늘에 보이는 별자리로서 오리온자리 바로 밑 토끼자리 아래였다 노아의 방주에서 날아갔다가 감람나무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전문가들은 중국의 양쯔강돌고래가 거의 멸종됐다고 말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양쯔강돌고래는 인간에 의해 멸종된 최초의 고래과 동물로 기록될 것이다. 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욕 태생 콜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후 모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어 중성미자(中性微子)의 실체에 관해 연구했다 특정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가요계에 새롭게 나타난 초신성!’ 초신성의 정체를 제대로 안다면 잘못된 표현이다. 옛사람도 맨눈에 보이지 않던 별이 갑자기 눈부시게 타오르던 모습을 보고 새로운 별(초신성)이 출현했다고 착각했다. 하지만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이해 갑자기 폭발하면서 밝아지는 단계를 뜻한다.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제2차 세계대전 뒤 기초과학 분야에서 지금까지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중 하나는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40년 전인 1967년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된 3쪽짜리 논문이다.‘경입자 모형’(A Model of Leptons)이라는 제목이 붙은 이 논문은 지금까지 약 6300회 인용됐으며, 입자물리학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의 승무원들은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이륙하는 동안 열을 차단하는 부분의 손상 정도를 검사했다.레이저로 근접 검사를 한 결과, 우주왕복선의 아랫부분에 열 피해를 막아주는 타일까지 뚫린 지름 7cm의 구멍을 발견했다. 광속이 직각으로 입사되는 피조명면상의 조명도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