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의식
지식
이해
식별
각성
지각
d라이브러리
"
인식
"(으)로 총 3,6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침이 입맛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결합하는 단백질이 증가한 사실도 확인했다. 침 속 단백질이 화합물에 결합해 맛
인식
을 방해한 것이다.러닝 교수는 “침이 입 속 음식의 맛을 바꾸고 음식 선택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라며 “쓴 음식을 먹으면 침의 단백질 조성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밝혔다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굵은 선으로 나타냈고, 정맥과 지맥은 가는 선으로 차등해 표현했다. 이 같은 산줄기
인식
은 풍수에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풍수에서 산줄기는 마치 나무처럼 몸체와 줄기가 있고 잔가지도 있다고 본다. 백두대간에서 ‘대간(大幹)’ 즉 ‘큰 줄기’라는 말도 풍수에서 나온 것이다.우리나라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백 연구원은 이렇게 만들어진 눈과 입, 심장박동수 등 세 종류의 데이터를 인공지능이
인식
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한 뒤 하나로 합쳐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켰다. 이 과정을 ‘멀티모달 학습(Multimodal Learning)’이라고 부른다. 현재 백 연구원은 멀티모달 학습을 마친 인공지능이 운전자 상태를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도미노의 첫 블록이 되는 겁니다. 이 외에도 우리가 생각하는 생물학적인 성에 대한
인식
을 바꿔 버리는 연구가 여러 편 발표됐습니다. 정상적으로 성장한 암컷 쥐에서 여성 결정 유전자 중 하나를 지웠더니 난소 세포가 고환 세포로 변해버린 연구 결과가 대표적입니다.doi: 10.1016/j.cell.2009.11.021 또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부드러움’ 등 촉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장 교수는 “사람은 감각 수용체로
인식
한 물리 신호를 신경을 통해 뇌로 보내 인지한 뒤 이를 ‘아프다’ ‘뜨겁다’ 등으로 느낀다”며 “전자피부의 경우 센서가 온도, 압력 등 물리적인 값을 측정한 뒤 이를 컴퓨터 연산으로 해석해 ‘아프다’ ... ...
중앙대 과학논술 대비 전략의 핵심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풀어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논술에 대한 오해 중 하나가 대학별로 유형이 다르다는
인식
이다. 유형은 질문의 형식에 따른 분류에 불과하다. 모든 대학의 논술은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단지 대학별로 질문의 형식이 다를 뿐이다. 유형에 연연하지 말고, 논리를 어떻게 구성할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G유플러스 홈미디어 체험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바탕으로 수많은 한국어 음성 데이터를 학습해 사람의 말을 듣고 반응하는 음성
인식
비서예요. 학습량이 많을수록 발음을 잘 구별하기 때문에 지금도 클로바는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훈련하며 스스로 발전하고 있어요. 2017년 12월부터 LG유플러스는 IPTV 서비스 ‘U+TV’에 클로바 인공지능 기능을 ... ...
[SW 기업 탐방] 선진 물류 시스템을 꿈꾼다, 메쉬코리아-부릉
수학동아
l
2018년 09호
각각 어디에 배치해서 어떤 순서로 이동하게 할지 답을 찾아준다. “배달업에 대한
인식
이 바뀌면 좋겠어요” - 김형설(메쉬코리아 CTO) Q 부릉은 어떤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나요?처음엔 각종 심부름을 대신 해주는 배달 서비스 ‘부탁해’로 시작했어요. 그런데 부탁해를 하면서 배달 기사의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예를 들어 깊은 잠에 빠진 사람이 주변이 차갑고 시끄러운 걸
인식
할 수 있지만, 그 사람이 잠에서 깨 반응하지 않는다면 의학적으로 의식이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체크포인트 2. 13년 만에 움직이는데, 이렇게 금방?극 중 우서리는 깨어난 직후에는 몸을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수 있지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기계가 사람처럼 재활용 쓰레기를 정확하게
인식
하고 분류할 수 있도록 로봇에 인공지능을 더하는 방식을 고민하고 있어요. 클라크는 인공지능 시스템인 ‘AMP 코텍스(Cortex)’를 갖고 있어요. 카메라로 보이는 화면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 위에 있는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