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길"(으)로 총 1,9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갈 데까지 크리스마스 파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드레스 코드야 파티의 기본이니 이해한다고 쳐도 ‘다른 사람을 즐겁게 만들 수 있는 장기’라니! 다함께 웃고 즐기는 파티라지만 주목받고 싶은 마음이 당연한 것. 게다가 이번 파티를 준비하는 동기는 남자사람 친구가 많기로 유명하다. 올해가 가기전에, 이번 파티에서 반드시 솔로 생활을 탈출 ... ...
- 검은 황금 어디까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현대 문명의 중심에 서있는 원료 ‘석유’. 자동차 연료에서 화학 섬유까지 석유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찾기 어렵다. 현대 문명만이 아니다. 노아의 방주에도 방수용 재료로 원유를 뜻하는 ‘역청’을 썼다는 성경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인간이 석유를 얼마나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을지는 누구도 확 ...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우리 조상들은 어떤 일을 할 때, 어려움이 없음을 표현하기 위해 ‘누워서 떡 먹기’, ‘식은 죽 먹기’처럼 소화 작용을 이용해 속담을 만들었다. 자연스럽게 숨 쉬는 것만큼 소화 작용에도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많다. 특히, 음식물이 입에서 항문까지 이동하는 과정은 우리 의지와 상 ... ...
-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2012년 당신의 지구는 안녕하십니까지구 자기장1000년 만에 역전된다지구자기장이 가끔 180° 뒤집힌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나침반이 완전히 반대로 향한다는 뜻이다. 문제는 시간이다. 지금까지는 지구자기장 역전이 5000년에 걸쳐 일어나는 줄 알았다. 그런데 이 시간이 1000년으로 당겨질 수 있 ... ...
- [knowledge] 하늘에서 땅끝까지, 식물과 달리다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인천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중국 쿤밍(昆明) 행 직항은 서쪽을 향해 약 세 시간을 날아 도착한다. ‘곧 착륙한다’는 기내 방송이 나오면 비행 정보를 켜서 실시간으로 떨어지는 고도를 보는 것이 비행기를 타는 묘미다. 1만m가 넘는 높이에서 0m까지 숫자가 줄어드는 만큼 도착지에 대한 기대감은 ... ...
- 짧고 굵게 집중하면, ‘원’도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1호
- 선생님, 원의 성질은 왜 배우나요?수학은 과학처럼 ‘와~!’ 소리가 나도록 신기한 현상을 관찰하거나, ‘펑!’ 소리가 나는 실험을 하기가 어려워요. 그래서 학교에서 배우는 수학이 일상생활 속에서 ‘어디에 쓰이는구나’를 쉽게 깨닫기가 힘들죠. 하지만 수학은 알게 모르게 생활 속에서 큰 역 ... ...
- [시사] 수학으로 건져 올린 침몰선 “응답하라! 후지카와마루"수학동아 l2012년 11호
- 태평양해양연구센터가 위치한 남태평양의 축 섬은 ‘다이버의 천국’이라고 불립니다. 바닷물이 맑고 산호가 아름다운 것은 물론, 바다 속 곳곳에 2차 세계대전 당시 침몰한 침몰선들이 가라앉아 있어 다이버들에게 색다른 볼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이죠.침몰선이라고 해서 우울한 유령선과 같은 모 ...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올해 노벨화학상은 로버트 레프코위츠 미국 듀크대 의대 교수와 브라이언 코빌카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둘 다 의대 교수인데다 연구 주제도 얼핏 생명과학과 더 가까워 보여서 발표 직후 잠시 술렁임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이 연구한 ‘구아닌(G)-단백질 결합 수용체(G-protein ... ...
-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생명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세포. 인체에는 약 60조 개의 세포가 있으며 그 종류는 약 220가지에 이른다. 수많은 세포는 우리 몸을 이루며 각각 특정한 기능을 수행해 생명활동을 유지시킨다. 놀라운 점은 이 모든 세포가 정자와 난자가 만나 탄생한 수정란이란 단 하나의 세포에서 유래했다는 ... ...
- 바다에 살고 죽는 제주의 어머니, 해녀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생물문화 다양성’이라는 용어가 있다. 생물문화는 생물 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을 유지하려는 각각의 노력을 하나로 융합하기 위해 유네스코가 만든 말이다. 제주도는 생물문화 다양성의 아주 좋은 사례다. 유네스코가 인증한 생물권보전지역(2002년), 세계자연유산(2007), 세계지질공원(2010)이자, 람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