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d라이브러리
"
저널
"(으)로 총 1,037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을 수 없는 가려움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별개로 가려움을 뇌에 전달하는 신경세포(뉴런)가 척수에 존재한다는 연구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첸 교수팀은 쥐 척수신경세포에서 가려움증 전달과 관련된 GRPR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파괴시키기 위해 사포린이라는 독성물질을 투입했고 2주가 지나자 GRPR을 가진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권위 있는 학술단체인 영국 왕립화학회의 하이라이트판을 비롯해 세계 유수의
저널
에 소개됐다.“기존의 전자코는 냄새물질과 고분자 소자간의 흡탈착 특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한된 종류와 농도에서만 냄새분자를 측정했지만, 인간의 후각수용체를 직접 사용하는 바이오 전자코는 다양한 종류와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비어 있건 매우 위험한 흉기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결과는 지난 4월 ‘법의학
저널
’에 실렸다. 2009 이그노벨상 수상자와 업적(10개 부문)수 의학 : 캐서린 더글러스, 피터 로린손(영국 뉴캐슬대)‘이름이 있는 소가 그렇지 않은 소보다 우유 생산량이 많음을 입증’평 화 : 스테판 볼리거 외 ... ...
The Limits of Internet?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시간보다도 훨씬 길다. 어쨌든 위키피디아는 여전히 누구에게나 완전히 무료로 공개된
저널
로 한때 혁명적인 것으로 칭찬받았던 온라인 협동방식의 한 모델로 여전히 남아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키피디아의 문제점이 웹 2.0의 한계를 암시하고 있다. 이상화된 커뮤니티가 지나치게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어렵기 때문에 가까운 시일 내에 답을 알기는 어렵다.그런데 올해 5월 29일자 생명과학
저널
‘셀’에 쥐를 대상으로 사람의 FOXP2 유전자를 바꿔치기한 실험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이에 따르면 사람의 유전자를 받은 쥐는 초음파 영역에서 내는 ‘찍찍’거리는 소리가 바뀌었고 뇌 기저핵 부분의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박사는 가위바위보를 이용해 손의 다친부위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2003년 의학
저널
‘인저리’에 소개했다. 가위는 척골신경이, 바위는 주먹을 쥐고 내미는 정중신경, 보는 손과 손목을 펴는 데 관여하는 요골신경의 움직임이 필요하다. 환자에게 각 손모양을 취하라고 한 뒤 불편함이 있는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호르몬인 인슐린을 쓸모없도록 만든다는 연구결과를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임상연구
저널
’ 9월호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생쥐를 두 그룹으로 나눈 뒤 첫 번째 그룹은 버터나 치즈, 우유, 쇠고기에 많이 들어 있는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을 함유한 먹이를, 두 번째 그룹은 포도 씨와 올리브유에 많은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운동신경세포와 이웃한 세포들이 운동신경세포 사멸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정상 생쥐와 변이 SOD1 유전자를 발현하는 생쥐의 분할란을 융합하고 정상 생쥐의 배아줄기세포를 이 돌연변이 생쥐의 배반포에 주입해 정상유전자와 변이 유전자를 ... ...
나를 말해주는 손가락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주차 능력이 뛰어나다는 연구가 국제
저널
‘인텔리전스’에 실렸고, 같은 해 국제
저널
‘성격과 개인차이’에는 검지에 비해 약지가 긴 사람이 운동 경기중 반칙을 많이 한다는 연구도 소개됐다.손가락은 나에 대해 어디까지 말해줄 수 있을까. 언젠간 손가락만으로 내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날이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공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경우는 케플러의 문제보다도 더 어렵다. 과학
저널
‘네이처’ 8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신기록을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프린스턴대 화학과 살바토레 토르콰토 교수와 기계공학과 대학원생인 양 지아오가 역시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