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신줄
케이블
전기선
제일선
전깃줄
선
와이어로프
d라이브러리
"
전선
"(으)로 총 84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역사속의 암호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26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돼 있는데, 회전자의 알파벳 하나하나는 옆 회전자의 각 알파벳과
전선
으로 연결돼 있다. 그림에서 G --> Y --> R --> A --> C --> T --> A --> E의 순서로 전기신호가 전달된다.4. 회전판의 전기신호가 플러그보드의 12번으로 먼저 전해지고 이와 연결된 18번으로 다시 옮겨진다.5.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한다는 점이 제기되면서 2차 대전에는 ‘예비부대’의 중요성이 본격적으로 부각됐다. 최
전선
에서 싸우는 부대를 두군데 정도로 설정하고 후방에 이를 지원하는 부대를 배치한다는 개념이었다. 세 부대를 지도상에서 이으면 역삼각형 구조를 이루는 형태다.현대에 들어서면서 사각형이나 일직선 ... ...
이별 준비하는 파이어니어 10호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최초로 빠져나간 우주선이었다. 2백50kg 남짓의 이 자그마한 우주선은 인류 우주 진출의 최
전선
에서 목성 사진을 비롯해 우리가 이제까지 알지 못했던 수많은 우주 정보들을 보내왔다.그러나 이제 파이어니어 10호는 인류의 꿈을 담은채 우주 저편으로 사라지게 된다. 미항공우주국에서는 더 이상 ... ...
NASA는 어떤 조직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않기 때문이다. NASA는 냉전이 종식된 이후 미국의 꿈은 물론 인류의 꿈을 펼치기 위해 최
전선
에 서 왔다. 그래서 예산이 계속 삭감되고 있는 NASA는 세계 각국에 공동으로 연구할 것을 제의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국제우주정거장 계획이다.NASA가 세워진 것은 1958년 10월 1일. 1957년 10월 4일에 옛소련이 ... ...
우리나라 송전의 새 장 열어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변전소에 보내는 일을 송전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은 매우 안전성이 보장돼야 한다. 만일
전선
이 땅에 떨어지는 일과 같은 사고가 발생한다면 큰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고가 나면 사고부분이 전력 계통에서 즉시 분리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한다.우리나라는 해방 후에도 일제시대에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사용하는 방식은 구동장치를 작게 만드는 일이 상대적으로 쉽다. 전기 충전을 위해
전선
을 몸 밖으로 적절하게 연결하면 된다. 외부장치라고는 허리춤에 착용한 배터리나 주변의 전원코드에 연결할 플러그 정도에 그칠지 모른다. 인공심장을 몸 속에 넣은 채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는 말이다. ... ...
공룡알 판매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바이에르사는 1942년 나일론6을 개발, 페르론이란 상표로 판매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전선
피복제로 사용한 것이 플라스틱 용도의 효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현재 나일론6이 가장 널리 쓰인다 강인하고 내충격성이 좋으며 전기특성 저온특성 내약품성도 우수하다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이것은 대기의 상승이 대류불안정 상태로 되기 때문 뇌우에는
전선
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전선
성뇌우, 저기압의 중심 부근에서 일어나는 저기압뢰, 그리고 여름철 오후 강한 일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뢰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뇌우는 계절적으로 보아 여름철에 가장 많고 오후 2∼3시경이 ... ...
2. 무엇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나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실험을 통해 더욱 힘을 얻었다. 고양이를 대상으로 실험한 예를 보자. 고양이에게
전선
을 연결하고 계속 걷게 한다. 고양이 눈 앞에 빨간 불이 들어올 때 고양이가 계속 걸어가면 전기 충격을 준다. 반대로 파란 불이 들어올 때는 전기 충격을 주지 않는다. 몇차례 실험이 진행되면 고양이는 빨간 불이 ... ...
1. 스모그는 왜 새벽에 발생할까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경우에 잘 생긴다. 이외에도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나 찬 지면 위를 이동할 때와
전선
면에서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위를 밀고 올라갈 때에도 흔히 발생한다. 역전층은 오염의 공범자서울 남산에 올라가 도심을 바라보면 뿌옇게 스모그가 낀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도시 상공에 역전층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