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750만 km 이내에서 돌며 지금 140m 이상의 대형 천체를 잠재적위험소행성(PHA)으로 분류해요.지금까지 인류가 파악한 잠재적위험소행성은 약 2000여 개이며, 그 중에서도 크기가 1km보다 큰 것은 약 1000개 미만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스콧 셰퍼드 박사팀은 “앞으로 나머지의 소행성을 찾아내기 ...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투표에서 모두 1등을 차지했습니다. 그 뒤로도 많은 독자들의 아이디어가 보태져 지금 여러분이 보시는 특집 기사로 완성됐습니다. 신년호부터 들어가는 연재 기획물 역시 마찬 가지입니다. 주태성 독자위원이 제안한 ‘SF 영화 나 소설 속 과학이야기’는 이번호부터 ‘SF영화로운 덕후생활’로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신나는 대상인지 느끼기만 하면 된다. 어떻게 저게 말이 되는지 고민하지 않길 바란다. 지금까지 그 답을 찾은 사람은 아무도 없으니까.”이 말을 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입니다. 파인만은 양자전기역학을 정립하고 양자 컴퓨터의 등장을 예견하는 등 양자역학의 한 획을 그었죠. ...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수 있다면, 하나의 소자에 정보값을 3개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 0과 1 그리고 2까지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원리로 작동하는 반도체 메모리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항상 부정적으로 생각했던 ‘결함’을 통해서 말입니다 ...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래로 내려간 지각판이 어디로 이동하는지 등을 이해하는 바탕이 되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알아낸 것보다 여러분이 앞으로 알아내야 할 것이 훨씬 더 많습니다.※필자소개 이아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2015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를 졸업하고,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마이크로파를 받아서 다시 전기로 바꾸는 거예요. 상용화에 충분한 기술이 갖춰졌나요?지금 당장 솔라리스 프로젝트를 실현하기는 힘들겠지만, 가까운 미래에는 가능할 거예요. 솔리라스 연구원들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전기를 전송하는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거예요. Q. 수학의 어떤 부분을 가장 좋아하나요? 숫자를 가지고 노는 것을 좋아해요. 지금도 숫자들 사이에서 여러 규칙을 찾는 것을 즐기는데요. 초중생 때는 스도쿠나 노노그램, 복면산 같은 퍼즐을 즐겨 풀었어요. 그런데 퍼즐은 공략법이 있다 보니, 그것을 알게 되면 조금 흥미가 떨어져서 ... ...
- [인터뷰] “냉소적인 세계관을 만들고 싶어 숫자를 활용했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22 SF 스토리 공모전 심사를 맡은 심완선 SF 평론가는 을 두고 ‘사람이 죽으면 무엇으로 태어날지 국가가 정한다는 내세 시스템이 매 ... 새로운 콘셉트나 관점을 제시해 이에 따른 상황들을 보여주면서 독자나 관객들에게 지금의 삶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을 만들고 싶어요 ...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가상의 개념으로 아직 실존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웜홀의 실존 증거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이유가 관측 방법을 제대로 모르는 데서 비롯된다고 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웜홀을 둘러싼 강착원반을 이론에 따라 시뮬레이션하고 그곳에서 방출되는 빛을 분석했다.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름다운 것, 중성미자와 우블렉처럼 이해는 안되지만 멋지게 들리는 주제도 있지만, 지금 소개하려는 연구자들은 아무도 선뜻 손대려 하지 않는 주제를 용감히 연구했다. 바로 똥과 오줌이다. 도대체 이 주제로 어떤 생산적 의미를 찾을 수 있을까? 이그노벨상이 언제나 사랑한 분야, 똥과 오줌의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