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쿄올림픽 여자배구 4강 이끈 숫자대작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선수가 서브를 합니다. 터키 팀은 공이 강하게 넘어오자 공을 받는 데 집중합니다. 공은
힘
없이 우리나라 쪽으로 넘어오고 이 순간을 놓칠 리 없는 김연경 선수가 네트 앞에서 공을 강하게 때려 점수를 가져갑니다. 같은 방법으로 연달아 점수를 냅니다.이 장면은 5세트 승리의 가장 결정적인 ... ...
[매스미디어] 세상을 구할 태초의 수호자, 이터널스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인간들을 지키기 위해서였습니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미지의 에너지에
힘
입어 모습을 감췄던 데비안츠가 지구로 돌아왔어요. 타노스의 시련에도 꿈쩍 않던 이터널스는 인간에게 재앙과도 같은 데비안츠의 등장에 바짝 긴장을 합니다. 그들에게 주어진 시간은 단 7일! 일주일 안에 동료를 찾아서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뇌를 누르도록 하자 곧바로 울음소리가 멎고 무의식의 상태로 빠져들었다. 뇌를 누르던
힘
을 풀자 실험동물은 의식을 되찾았다.서기 129년 그리스의 의사 겸 철학자인 갈레노스의 해부학 실험을 통해 생각의 근원이 뇌라는 사실이 처음 드러났다(우리가 상식으로 알고 있는 생물학 지식의 많은 ... ...
[특집] 물고기를 살리려 바다로 뛰어든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무겁고 위험해서 인간의
힘
으로는 건져낼 수 없거든요. Q생각보다 많이 건져내기
힘
들 것 같아요. 정부 통계에 의하면 바다에 버려지는 폐어구는 연간 약 4만 4000t이지만, 수거되는 양은 1만 1000t에 불과해요. 현재도 폐어구 투기는 금지되어 있지만 잘 지켜지지 않고 있죠. 여러분이 물고기인데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분석에 집중하기 위해 프로젝트는 중단됐지만요. 이 프로젝트를 보며 작은 존재라도
힘
을 모으면 큰일을 할 수 있다는 의미의 속담 ‘개미가 절구통을 물어간다’가 생각났어요. 비록 개인용 컴퓨터의 성능을 미미하지만, 협력하면 외계인을 탐사할 수 있을 정도의 슈퍼컴퓨터가 될 수 있어요. ... ...
[특집] 연속체 가설은 거짓? 끊임없는 수학자들의 공격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수학 및 정보학과 교수는 기존의 공리를 이용해 연속체 가설이 거짓이라는 쪽에
힘
을 실었습니다. 그들이 사용한 공리는 우딘의 ‘스타 공리’와 ‘마틴 최대 공리’예요. 두 공리는 서로 모순이라고 알려져 있었습니다. 즉 둘 중 하나가 참이면 다른 하나는 거짓이라는 거지요. 거기다 두 공리 모두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설명했다.밀기는 다트 임무에서 시도하는 방식으로 우주선 등 인공물체를 충돌시켜 그
힘
으로 밀어낸다. 당기기 역시 우주선이 활용된다. 목표 소행성의 질량만큼 무거운 우주선이 소행성 인근에서 비행하며 중력으로 소행성을 당겨 궤도를 변경한다. 다만 질량이 수백만 kg에 달하는 소행성급의 ... ...
[SF소설] 바키타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큰 소란이 있었습니다. 소란이라는 말보다 전투가 맞겠습니다만, 전투라기에는 추측대로
힘
의 크기가 비등하지 못했으니 학살이 맞겠습니다. 숲속 인간들은 갑자기 찾아온 바키타들에게 꼼짝없이 당했습니다. 시끄러운 소리를 듣자마자 본능적으로 이곳이 안전하지 못하다는 걸 깨달은 저만이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밝게 만들면 태양 빛 입자를 반사시킬 수 있어요. 그러면 태양에서 나오는 빛이 미는
힘
인 ‘복사압’이 커지면서 소행성이 조금씩 뒤로 밀려나 궤도가 조금 바뀌는 거예요. 하지만 이 방법으로 바뀌는 궤도는 매우 미세할 거예요. 충분히 긴 시간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을 거예요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셋이 뽑은 수학 관련 전공자의 가장 큰 장점은 ‘논리와 구조를 바탕으로 생각하는
힘
’이 있다는 거예요. 순수 수학만으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진로를 결정할 때 어려울 수 있지만, 다른 분야로의 진출이 쉬운 것도 사실이에요! 수학이 안 쓰이는 분야는 거의 없으니까요. 오늘의 이야기가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