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②] 맹인 없는 세상 만드는 ‘인공 눈’
2015.01.06
사람은 안경이나 콘텍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고, 백내장 같은 질환은 인공 수정체를
삽입
해 치료한다. 최근에는 다른 사람의 각막을 이식 받아야만 해결할 수 있었던 각막도 폴리머 소재로 만든다. 최근엔 줄기세포 기술을 이용해 인공각막 배양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한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체외기로부터 데이터와 전력을 전달 받는다. 체내 장치의 최종 출력은 달팽이관 안에
삽입
된 다채널 전극이다. 이 전극은 입력된 소리의 주파수별 정보에 따라 각 채널에 전달되는 전기펄스를 생성한다. 이런 장치를 모두 붙이고 다니다 보니 상당히 거추장스럽고 전원 관리 등에도 신경을 써야 ... ...
치아엔 티타늄-스텐트엔 니티놀, 생체 금속의 세계
2014.12.12
뛰어나 대표적인 형상기억 합금으로 분류된다. 니티놀로 스텐트를 작게 만들어 혈관에
삽입
하면 체온에 의해 니티놀이 일정 크기까지 늘어나면서 스텐트가 혈관을 쉽게 확장할 수 있다. 석현광 KIST 책임연구원. - KIST 제공 ● 체내에서 녹는 금속도 개발 중 최근 국내에서는 체내에서 ... ...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글로벌 헬스케어 업체 메드트로닉의 디지털 혈당기가 대표적인 예다. 환자 피부 속에
삽입
된 센서로 혈당 수준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무선으로 전달해 환자의 혈당치가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에 환자와 의사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내준다. 필립스조명에서 선보인 ‘휴 전구’는 스마트·커넥티드 ... ...
암 환자 위한 스마트 가발 “신기하네”
2014.11.13
모여 포즈를 취했다 - KAIST 제공 “항암치료를 받는 암 환자들을 위한 가발이에요. 내부에
삽입
된 심박수 측정센서와 체온 측정센서가 면역력 정보를 수집해 건강상태를 확인합니다.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보호자에게 비상신호를 보낼 수 있어요.” 대학생들의 톡톡튀는 ... ...
인류의 끝도, 영화의 끝도 USB?
2014.10.05
떨어질까). ● 차라리 ‘킬빌’이었다면 영화 도입부에서 가젤이 사냥당하는 장면을
삽입
했던 것만큼 뤽 베송 감독은 이번 영화에 시종일관 상당한 ‘힘’을 주었던 것 같다. 그렇지 않고서야 후반부의 허무맹랑한 난해함을 설명할 수가 없다. 차라리 힘을 좀 빼고 ‘킬빌’처럼 영화를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기술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송용원 책임연구원팀은 콘택트렌즈에
삽입
할 수 있는 당뇨 측정 센서와 미세관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당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피를 뽑을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향후 현재 개발 중인 렌즈 안에 통신 장치를 내장하는 기술만 ... ...
언어유전자, 학습 능력 ↑
2014.09.16
‘언어 유전자’로 불린다. istockphoto 제공 연구팀은 쥐에게 사람의 Foxp2 유전자를
삽입
해 단백질로 발현시켰다. 그 결과 사람의 유전자가 들어 있는 쥐는 일반 쥐보다 T자형 미로에서 먹이를 찾는 능력이 20% 향상됐다. 먹이가 미로 속 어떤 위치에 있는지 더 빨리 배울 수 있게 된 것이다. 앤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아프지만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
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실제로 수술 초반 심하게 떨리던 손이 점차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같은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김 교수팀은 이렇게 개발한 탐침을 간질을 유발하는 약물을 투여한 쥐의 뇌에
삽입
해 신경신호를 측정한 결과 간질을 일으키는 뇌의 특정 영역을 정확히 찾아냈다. 또 낯선 쥐를 우리안에 집어 넣자 쥐의 뇌신경이 과민반응을 보이는 현상도 탐지하는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는 “뇌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