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끝"(으)로 총 9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젊은 공학자 집념으로 장애인 웨어러블 로봇 상용화 ‘눈앞’동아사이언스 l2019.06.24
- 재직 당시 ‘SG메카트로닉스’라는 재활로봇 기업을 창업했고 지속적인 투자 유치 노력 끝에 LG전자의 투자를 받아 나동욱 세브란스재활병원 교수와 공동으로 ‘엔젤로보틱스’를 재창업했다. 그 사이 함께 연구하던 연구원이 영남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힘을 합쳤다. 판이 커지자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테크니션이 아니라 '과학연구관'이라고 부르라2019.06.20
- 진보적인 개인으로 탈바꿈할 정도로, 제도와 상식은 끊임 없이 진보하고 있다. 그 진보의 끝이 무엇인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하지만 청소년 참정권이 논의되고, 청소년의 선거연령이 한참 더 내려가야 한다는 논의가 오가는 지금, 우리가 얼마나 과거의 잣대로 세상을 재단하고, 과거의 잣대로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2019.06.13
- 값은 우주 어디에서라도 똑같다. 이웃 은하인 안드로메다에 사는 외계인에게도 우주 저 끝 반대편에 있을지도 모를 외계인에게도, 그리고 토르나 타노스에게도 이 값은 똑같다. 1960년 정의로 미터의 정밀도는 약 10억 분의 일 정도로 높아졌다. 미터의 기준이 우리가 임의로 만든 물건에서 자연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않을까. 그럼에도 아직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 그런데 손가락 비율 이야기는 여기가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다. 손가락 비율은 검지와 약지의 길이를 재면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정량화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특성을 대신하는 지표로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성의 동성애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김영수 대한의료로봇학회 명예이사장(한양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기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 절차를 단축해 전체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새로 개발된 의료기술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평가와,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보험을 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다시 나빠질 수 있어’, ‘이전에도 좋아하다가 금새 실망했잖아’, ‘이 기쁨도 곧 끝날거야. 영원한 행복이란 없어’, ‘나한테 이런 좋은 일이 생길리가 없잖아. 뭔가 잘못된 게 아닐까?’, ‘기분이 좋으니까 일에 집중을 못하겠어’, ‘사람들이 내가 잘난척 하는 줄 알거야’. 이런 생각들을 ...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동아사이언스 l2019.06.07
- 약 8000만 달러(943억 원)이 들 것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화이자는 3년에 걸친 논의 끝에 연구를 지속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화이자는 실험 결과 엔브렐이 뇌 조직에 도달하지 못해 알츠하이머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효과에 관한 의학적 통계도 과학적 기준을 충족하지는 못했다며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2019.05.28
- 아이를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은 18시간으로 마무리됐다. 교육부에서 규정한 연간 17시간보다 한 시간을 더 썼다. 게다가 일대일 과외라는 개발자 아빠 찬스도 적용됐다. 아무래도 학교에서 이뤄질 교육보다 모자라지는 않을 것이다. 질적, 양적인 면 모두에서 말이다. 교육을 통해 아이는 컴퓨터에 ...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2019.05.22
- 생략할 수밖에 없었다. 아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지루해했고, 그럴수록 교육을 빨리 끝마쳐야 한다는 압박은 강하게 다가왔다기 때문이다. 손과 다리를 동시에 제어해야 하는 줄넘기조차 익숙해지기 전까지 아이들은 어려워한다. 하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논리적 구조는 더욱 그렇다. 너무 많은 것을 ... ...
-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5.22
- 을 만들었다. 쥐가 달리면 트레드밀의 벨트가 고리 모양으로 회전한다. 쥐의 입장에서는 끝이 없는 직선 길을 달리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쥐 머리에 장착하는 소형 스마트폰 모양의 뇌세포 측정 및 자극 기기를 만들어 실리콘 탐침을 꽂았다. 20일 KIST에서 열린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에서 뇌 속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