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d라이브러리
"
존재
"(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金正浩)라는 한 개인이 만들어낸 지도라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물론 대동여지도의
존재
를 미리 알았다고 해서 일본 육군이 한국의 지형도를 만들지 않았을 리는 없다. 그러나 그것을 참고했더라면 지형 측량작업이 훨씬 용이했을 것이고 지형도 작성도 간단히 이뤄졌을 것이다. 육군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서리의 형태로 극관과 지하에 얼어 붙어 있고 대기와 표면에는 극히 적은 양만이
존재
한다.화성에는 대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크다. 화성이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적도에서 밤과 낮의 온도차는 거의 1백℃에 이른다. 이 지역에서 여름에는 온도가 37℃까지 올라간다. 바이킹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응용하려는 AI를 샬은 '약한 AI'라고 불렀다. 약한 AI 개념에 대해서는 로자크조차 그
존재
를 인정하고 있다. 샬은 '강한 AI'개념의 잘못을 지적하고 '약한 AI'를 입증하기 위해 AI를 두가지로 구분했다.샬의 주장에 대해 처치랜드는 '시대의 흐름을 무시한 발상'이라고 공박했다. 처치랜드의 논리는 ... ...
PART Ⅲ 인간의 의식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나와 똑같이 사고하고 판단할 것인데, 내가 죽고나면 나의 영혼은 그 컴퓨터속에 불멸의
존재
로 남을 것인가. 들어와보지 않고는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지극히 사적인 '나'라는 자의식의 경험은 양자방출촬영(PET Scan)사진의 어디에서 흔적을 찾아 볼 수 있을까. 신경과학은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별의 내부사정을 직접 전달해주는 유일한
존재
이기 때문이다.파울리교수가 중성미자의
존재
를 예언한지도 벌써 61년이 지났다. 그동안 미국의 부룩해븐연구소 페르미연구소 그리고 유럽의 CERN에서 많은 중성미자를 만들어 냈다. 이 과정에서 특히 기여를 한 장비는 스탠퍼드 선형가속기였다. 또 이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것이 아니었다.이 사실은 그 자체만으로도 놀라운 것이다. 왜냐하면 목성은 태양계에
존재
하는 '가스로 가득찬 네개의 거대한 행성'가운데 가장 크기 때문이다. 또한 목성은 태양에 제일 가깝고 따라서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받아들인다. 뿐만아니라 공전속도도 가장 빨라 그 대기를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존재
하기 힘들다. 하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타이탄의 내부가 뜨겁기 때문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즉 지표면의 틈을 뚫고 열이 새어나올 수만 있다면 톨린을 먹는 미생물이 득실거릴지도 모른다는 것.만약 타이탄에 미생물이 전혀 없다면 실험을 위해 지구에서 미생물을 ... ...
배타의 원리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왜 배타의 원리가
존재
해야만 하는지를 알지 못하였다. 그 원리가
존재
하고 또한 우주의
존재
를 설명한다 해도 가끔씩이라도 전자나 다른 입자들이 들어가서는 안될 궤도로 침입할 수도 있지 않은가 말이다. 그런 사례가 너무 가끔씩 일어나는 바람에 유심히 지켜보지 못했던 과학자들이 아직 그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예를 들면 코린성 신경에는 아세틸콜린만이
존재
하고 가바성 신경에는 가바만이
존재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뇌의 신경 세포에는 두가지 때로는 세가지 전달물질이 공존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이중 한가지는 대개 펩티드임이 알려졌다. 아마도 이들이 협동해 신경전달물질의 작용을 원활하게 ... ...
미용의 적-변비 치질 등 합병증이 더 무섭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배변 반사신경이 손상돼 변비를 부른다.드물지만 결장의 신경세포가 선천적으로
존재
하지 않기 때문에 변비환자가 될 수밖에 없는 딱한 사람도 있다. 환자의 대부분이 젊은 사람인 이 희귀병은 최초로 발견한 독일 소아과의사의 이름을 따 허시스프렁씨병이라고 부르는데, 계속적인 항문주위의 ... ...
이전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