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흑백으로만 볼 수 있어요. 그는 2003년부터 색을 소리로 바꾸는 안테나를 개발했고, 2004년에 자신의 머리에 안테나를 심었지요. 덕분에 360개의 색과 함께 자외선, 적외선까지 소리로 들을 수 있게 됐답니다. 하비슨은 이런 능력을 활용해 유명인의 연설이나 노래를 색으로 표현하기 시작했고, 이를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공부하세요.” 기상천외한 로봇들이 한곳에?! 로멜라전이번 전시를 위해 지난 4년 간 로멜라 연구소에서 개발한 15대의 로봇이 미국에서부터 바다 건너 한국을 찾아 왔어요. 휴머노이드 로봇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 ...
- [과학뉴스] 터널 화재 초기 진압 신기술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완전히 연소되지 않은 분진 등이 공간 내에서 피해를 가중시키기 때문이다. 2017년 12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연구팀은 압축공기포와 거품의 원리를 이용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압축공기포 화재진압 기술 시스템’을 개발했다. 물을 기반으로 만든 친환경 무독성 소화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지(문제)가 있다”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 있다”고 덧붙였다. 이변이 없는 한 2018년에는 폴더블폰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업계에서는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제조 기술이 가장 앞서있는 삼성에서 폴더블폰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과연 삼성이 내놓을 폴더블폰은 어떤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어지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결국 개인에게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다. 아마존은 2000년대 초 세계 최초로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해 개인 맞춤형 상품 추천 엔진을 개발했다. 고객들이 상품정보를 읽기 위해 상품명을 클릭한 횟수, ‘좋아요’를 누른 횟수, 상품 구매 후 남긴 평가 등 다양한 종류의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과학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한중일 세 나라는 수천 년에 거쳐 이웃이자 애증의 관계를 형성해왔다. 앞으로도 경쟁과 협력을 계속할 수 밖에 없는 숙명 속에 중국의 과학기술을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이 조심스러운 건 사실이다. 그래도 이곳 베이징에서 보고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균형을 잡는 동영상을 공개했다. 사실상 두 발 보행 알고리즘을 완성한 셈이다. 그리고 3년이 지난 최근 아틀라스는 백플립까지 선보이며 진정한 휴머노이드로 진화했다. 현재 아틀라스의 키는 약 1.5m, 몸무게는 75kg으로 28개 관절로 이뤄졌다. 짐은 최대 11kg까지 들 수 있다. 흔히 인간형 로봇의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먹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엄마 개의 이런 행동은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2017년 8월,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개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연구를 쏟아내던 저명한 학자인 레이먼드 코핑거 박사는 그 이유를 개의 진화과정에서 찾았습니다. 코핑거 박사는 개가 지금처럼 사람 손에 키워지게 된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0-18초 빨라진다. 즉 550m인 롯데월드타워 전망대에서는 5.5X10-14초만큼 빨라진다. 이는 58만 년에 1초가 변하는 정도의 차이다. 아주 작은 차이 같지만 일상생활에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이 정도 오차를 가질 경우 전혀 엉뚱한 길로 안내할 수 있다. 현재 표준연은 이터븀 광격자 시계의 불확도를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KAIST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중요한 능력을 융합으로 보고, 2018학년도부터는 2학년 때 특정 전공 대신 융합기초학부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했다. 신 입학처장은 “고등학교에서는 기본기를 다진다는 생각으로 인문학을 포함해 여러 분야에서 기초 실력을 기른 뒤 여러 사람과 대화하는 ... ...
이전629630631632633634635636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