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사랑하는 독자라면 누구나!(정기구독자 우선 선발)지원 기간2017년 1월 15일 ~ 2월 28일까지지원 방법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 (kids.dongascience.com)에서 온라인으로 접수※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확인해 주세요.문의02-3148-0812, 0728 / kids@dongascience.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자들이 많이 등장합니다. 연구 주제도 대단히 세련되고 미래지향적입니다. 지난 1월호의 ‘복원력 강한 도시 구조’ 연구나(서울대 송준호 교수), 이번 호의 ‘시멘트 없는 콘크리트’ 연구(UNIST 오재은 교수)는 건설 공학이 최근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어떤 미래를 상상하고 있는지 알게 ... ...
- [과학뉴스] 오바마 ‘사이언스’에 기후정책 글 기고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형사사법 개혁 진전에 대통령의 역할’이라는 56쪽 분량의 기고문을 실었다. 지난해 7월에는 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미국의학협회저널(JAMA)에 공공 의료보험 도입을 주제로 한 논문을 게재했다 ... ...
-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교수팀은 상처 난 부위에서 어떻게 지방세포를 생성하는지를 밝혀 ‘사이언스’ 1월 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의 피부에 난 상처가 낫는 동안 근섬유아세포를 지방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하면 흉터가 줄어드는 현상을 관찰했다.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 등이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 ...
- [과학뉴스] 얼음 구름의 생성 순간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흡수해 얼음 결정을 형성하는 과정을 촬영해 학술지 ‘물리화학·화학물리’ 2016년 11월 21일자에 발표했다.구름은 태양 빛을 반사해 지구를 시원하게 하거나, 지구에서 빠져나가는 방사선을 흡수해 지구를 데우는 등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복잡한 화학작용으로 공기 중에 얼음 결정 구름이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당신들도 가지고 있다. 이제 뭘 해야 할지 알 것이다. 결투를 신청한다.”2015년 6월 30일. 유튜브에 흥미로운 영상 하나가 올라왔다. 일본 로봇에 결투를 신청하는 미국 로봇 제작사 메가보츠 대표의 메시지였다. 그로부터 5일 뒤, 세계 최초로 사람이 탑승하는 거대 로봇을 만든 일본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약한 빛에도 광합성이 가능하다. 바다 수온이 10°C 이하면서 광량도 적절한 10월에서 2월이 가장 김이 좋을 때이며 검고 진한 홍색을 띈다. 그 이후에는 색이 점점 옅어진다. 좋은 김은 ‘색태’로 알아이른 아침 바다로 떠났던 김 양식 배가 다시 육지에 닿을 즈음, 하얀 김을 내뿜으며 분주하게 ...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ICT와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 미국의 퓨리서치센터는 2016년 2월, 지난 2년 동안 신흥국과 개발도상국들의 인터넷 사용자 수와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격하게 증가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신흥국과 개발도상국의 인터넷 사용자는 2013년 45%에서 2015년 54%로, ...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줄기세포 전반에 대한 연구를 합니다. 그런데 CiRA는 오직 iPS세포 연구만을 위해 2010년 4월 설립됐습니다. 연구소장인 야마나카 교수를 중심으로 32개 연구그룹 약 300명의 연구원들이 모여 있습니다.iPS세포 연구도 종류가 다양한데요. 환자의 iPS세포를 유전자 교정을 통해 건강한 세포로 정상화시킨 뒤 ... ...
- [수학뉴스] 울프상 수상자, 리처드 쉔과 찰스 페퍼먼수학동아 l2017년 02호
- 1월 3일, 2017 울프상 시상식이 이스라엘 에레츠 박물관에서 열렸습니다. 울프상은 수학과 화학, 의학, 물리학, 예술, 농업 분야에서 혁혁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수상자 130여 명 중 40명이 평균 5년 뒤 노벨상을 받아 ‘예비 노벨상’이라고도 불립니다.올해 수학 부분 수상자는 리처드 쉔 ... ...
이전630631632633634635636637638 다음